“美 살리려다 세계경제 죽는다”… G19 vs 미국

“美 살리려다 세계경제 죽는다”… G19 vs 미국

입력 2013-09-07 00:00
업데이트 2013-09-07 00: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G20 정상회의 핫이슈 ‘양적완화 축소 속도 조절론’

5일(현지시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담에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신흥국들은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움직임에 우려를 쏟아냈다. 최근 동남아 지역과 브라질 등에서 불거진 금융위기에서 보듯 미국이 자국 경제를 안정시키려 무리하게 자금을 회수할 경우 전 세계가 또 한 번 환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날 회동에서 신흥국들은 이구동성으로 미국이 출구 전략 실행에 최대한 신중을 기해 달라고 요구했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불가피한 것이기는 하지만 신흥국들의 충격을 줄이려면 최대한 단계적으로 이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G20 개최국인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개막 연설에서 “최근 몇 달동안 (신흥국 경제에) 새로운 위험이 가해졌다”면서 “선진국의 출구 전략이 다른 나라 경제를 위협하면서 세계 경제의 핵심 위협 요소가 됐다”고 경고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도 “세계 경제를 위해 G20이 더 협력해야 한다”며 미국이 양적완화 시행에 앞서 신흥국들의 상황을 살펴봐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전했다. 박근혜 대통령 역시 “선진국과 신흥국이 한 배를 탄 만큼 G20의 공조 강화가 중요하다”며 다른 신흥국들과 입장을 같이했다.

브라질과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공 등 브릭스(BRICS) 그룹은 본회담에 앞서 따로 만나 미국에 출구 전략을 최대한 늦춰줄 것을 요청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유사시에 대비해 역내국이 1000억 달러의 외환 풀을 운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남아공 브릭스 회동에서 합의했던 것으로 금융위기가 재발할 가능성에 대비해 ‘방어막’을 쳐 두려는 의도다.

이처럼 양적완화 축소 움직임에 대해 신흥국들이 공포에 가까운 반응을 보이자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서둘러 진화에 나섰다. 그는 첫날 열린 세션 토의에서 “나사를 망가뜨리지 않으려면 지나치게 조여서는 안 된다”는 표현을 써 가며 “양적완화 축소를 합리적 한도 안에서 점진적으로 해나갈 것”임을 강조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는 오는 17~18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출구 전략 실행 여부를 결정한다. 오바마 대통령의 이번 발언이 FOMC 회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이에 대해 안톤 실루아노프 러시아 재무장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세계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오바마 대통령의) 행동 계획을 모든 참석자가 지지했다”고 밝혔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3-09-07 1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