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후쿠시마 해저오염 조사지점 200→60만개로 강화”

“日 후쿠시마 해저오염 조사지점 200→60만개로 강화”

입력 2013-09-15 00:00
업데이트 2013-09-15 1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의 방사능 오염수 유출에 따른 해양오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원전 앞바다의 약 60만개 지점에서 해저 오염조사를 실시할 방침이라고 요미우리신문이 14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원자력규제위원회는 오염수 유출로 국내외의 불안이 커지는 점을 감안, 현재 약 200곳인 조사 지점을 3천배인 60만개로 늘리기로 했다. 조사 예정 지점은 원전 앞바다의 약 1천㎢(동서 20km×남북 50km) 해역에 걸쳐 있다고 요미우리는 소개했다.

원자력규제위는 와이어를 사용, 계측 장비를 배에서 해저로 내린 뒤 천천히 장비를 이동시키면서 1m마다 방사선량을 측정, 해저에 쌓인 방사성 세슘의 농도를 분석한 뒤 내년 봄까지 결과를 정리할 예정이다.

이는 이제까지 일본 정부가 실시한 해양오염관련 데이터 수집의 규모가 작고, 이동범위가 제한적인 조개류의 영향에 대한 평가는 미흡했다는 지적을 감안한 조치다.

도쿄의 2020년 하계올림픽 유치 과정에서 오염수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가 고조되고, 후쿠시마원전 주변 8개현 수산물에 대한 한국정부의 전면 수입금지 등을 보면서 신뢰할 만한 정부 차원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일본 당국이 인식한 것으로 보인다.

원전 오염수 유출 문제와 관련,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지난 7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서 오염수의 영향이 원전 전용 항만 내부에 국한돼 있다면서 “상황이 통제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후쿠시마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의 야마시타 가즈히코(山下和彦) 연구원이 지난 13일 “지금 상태는 통제가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히는 등 아베 총리 발언에 대해 일본 내부에서도 반론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