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평화상에 화학무기금지기구(OPCW)…“화학무기 금기 인식에 큰 공”

노벨평화상에 화학무기금지기구(OPCW)…“화학무기 금기 인식에 큰 공”

입력 2013-10-12 00:00
업데이트 2013-10-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벨평화상에 화학무기금지기구(OPCW).
노벨평화상에 화학무기금지기구(OPCW).


올해 노벨평화상의 영예는 시리아 화학무기 해체 작업을 이끌고 있는 국제기구 화학무기금지기구(OPCW)에 돌아갔다.

노르웨이 노벨위원회는 11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열고 “국제법 아래 화학무기 사용을 금기(taboo)로 만드는 데 공이 컸다”면서 이처럼 선정 결과를 밝혔다.

화학무기금지기구는 지난 8월 시리아 내전에서 대규모 독가스 학살이 터진 이후 ‘화학무기 전면폐기’라는 외교적 해법을 끌어내는 중심 역할을 맡아 서구와 시리아의 전면전 방지를 도왔다.

OPCW는 현재 시리아에 국제 조사단을 파견해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이 보유한 화학무기를 확인·해체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OPCW는 네덜란드 헤이그에 본부가 있고 1993년 체결된 화학무기 금지협약(CWC)의 이행을 위해 1997년 창설됐다. 현재 CWC는 미국, 러시아, 시리아 등 189개국이 가입한 상태다.

노벨 위원회는 “시리아에서 최근 화학무기가 사용된 만큼 화학무기 철폐 노력은 더 강화되어야 한다. 미국과 러시아 등 일부 CWC 가입국은 작년 4월까지 화학무기를 전면 폐기한다는 기한을 지키지 못하고 있다”면서 앞으로의 과제를 지적하기도 했다.

노벨평화상은 사람 외에 단체도 수상할 수 있고 과거에도 유럽연합(EU·2012년), 유엔 정부간기후변화위원회(IPCC·2007년) 등이 영예를 안았다.

올해 노벨 평화상 선정 과정에서는 2011년(241명)의 기록을 깨고 사상 최대인 259명의 후보(단체 후보 50곳 포함)가 경합을 벌였다.

이 가운데 탈레반이 쏜 총에 머리를 맞고 기적적으로 살아나 여성 교육권을 설파한 파키스탄 소녀 말랄라 유사프자이(16), 테인 세인 미얀마 대통령, 콩고 산부인과 의사인 데니스 무퀘게 등이 유력 후보로 거론됐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