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터 차 “北, 이르면 연말 4차 핵실험 가능성”

빅터 차 “北, 이르면 연말 4차 핵실험 가능성”

입력 2013-11-14 00:00
업데이트 2013-11-14 07: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이란핵 해결 주력…북한, 도발통해 협상 강제할 것” “우다웨이 활동, 개인적 플레이 성격 강해”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의 빅터 차 선임연구원은 13일(현지시간) “앞으로 외교적 협상이 없다면 북한이 올겨울이나 내년 봄 쯤 추가 핵실험을 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밝혔다.

차 연구원은 이날 워싱턴 특파원들과의 간담회에서 “북핵 협상의 역사를 보면 북한이 도발을 통해 협상을 강제하는 정형화된 패턴을 볼 수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차 연구원은 향후 6자회담 재개 전망에 대해 “북한이 일체의 핵과 미사일 실험을 유예하고 플루토늄과 농축우라늄 등 핵분열 물질 개발프로그램을 중단하는 등의 구체적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회담이 열리기 어려워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중국은 북한이 또 도발하지 않을까 염려하면서 미국과 북한 사이를 중재하고 있지만 양국의 입장차가 너무 커보인다”며 “북한은 비핵화에 대해 진지한 것으로 보이지 않으며 근본적인 입장변화가 없으면 6자회담 재개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 9월 베를린과 런던에서 열린 북·미간 트랙2 협상은 성과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며 “최근 미국에 이어 북한을 다녀온 우다웨이 6자회담 수석대표의 활동도 개인적 플레이의 성격이 강해 상황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북핵문제에 대한 미국 조야의 기류에 대해서는 “북한 피로현상(North Korea fatigue)이 만연해 있다”며 “미국은 이란과 아프간 문제 해결을 더 우선시하고 있는데다 오바마케어 등 국정 어젠다가 많기 때문에 북핵 협상에 나설 가능성이 많지 않다”고 강조했다.

차 연구원은 특히 “겉으로는 이란 핵과 북한 핵문제가 다른 것처럼 비쳐지지만 이란 핵협상이 북핵 이슈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차 연구원은 최근의 한일갈등에 대해 “지금까지는 긴밀한 동맹이라는 틀 안에서 다뤄졌는데, 이번에는 양상이 달라보이며 미국도 어느 한쪽 편을 들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며 “다만 일본 아베 정권에 대해 역사문제와 관련해 자제할 것을 요청했고 이후 일본 측이 나름대로 태도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비쳐지는 만큼 한국의 박근혜 정권이 어떤 식으로 반응할 지 미국은 지켜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