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조작해 HIV 감염 막는 새 치료법 발견

유전자 조작해 HIV 감염 막는 새 치료법 발견

입력 2014-03-06 00:00
업데이트 2014-03-06 14: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에이즈 바이러스(HIV)가 면역세포인 T세포에 침입하지 못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하는 새 치료법이 발견돼 초기 단계의 성과를 거뒀다고 AFP 통신 등 외신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HIV 환자의 T세포에서 유전자 CCR5를 제거한 뒤 다시 환자 몸에 주입했을 때 조작된 세포가 환자의 몸 안에 안전하게 살아남아 HIV의 공격을 막아냈다. CCR5는 HIV가 T세포를 감염시킬 때 침입 경로로 이용하는 유전자다.

연구팀은 12명의 HIV 환자에게 2009년 5월부터 2012년 7월 사이에 CCR5가 제거된 세포 100억 개를 1차례 주입했을 때 바이러스 부하가 줄어들었으며 주입 1주일 뒤에는 인체 내 T세포의 수가 급증했다고 밝혔다.

환자 중 1명이 주입 후 24시간 내에 열과 오한, 관절 통증 등으로 응급실에 실려가기는 했지만, 연구팀은 연구에 사용된 약물로 인한 증상으로 보인다면서 새 치료법이 일반적으로 인체에 안전하다고 설명했다.

환자들은 36주간 1단계 실험을 마쳤으며 10년간 추적 관찰될 예정이다.’유전자 편집’이라는 이름이 붙은 새 치료법은 CCR5가 결핍된 상태로 태어나는 1%의 돌연변이들이 HIV에 감염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착안해 고안됐다. 선임 저자인 칼 준 펜실베이니아대 교수는 “이번 연구는 HIV 환자의 T세포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조작해 자연적으로 바이러스에 저항력이 있는 상태를 흉내 내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준 교수는 “이 치료법이 언젠가 HIV 환자를 위한 실용적인 치료법이 돼 (환자들이) 매일 항레트로바이러스제를 먹어야 할 필요성을 없애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지금껏 전 세계에서 7천만 명이 HIV에 감염됐고 이 중 절반이 목숨을 잃었다. 치료 사례는 HIV에 감염되지 않는 유전적 돌연변이 상태로 태어난 사람에게서 골수 이식을 받은 미국인 1명뿐이다. 의료계에서는 사망률이 30%에 달하는 골수 이식보다 안전한 치료법을 모색해온 터라 새로 공개된 치료법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