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볼라 바이러스 대유행, 과거와 다른 양상…과일박쥐 아닌 인간으로부터 전염 시작”

“에볼라 바이러스 대유행, 과거와 다른 양상…과일박쥐 아닌 인간으로부터 전염 시작”

입력 2014-08-29 00:00
업데이트 2017-03-13 17: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에볼라 바이러스’ ‘과일박쥐’

에볼라 바이러스의 올해 대유행은 과거와 다른 양상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 과일박쥐에 의한 감염이 아닌 인간으로부터 전염이 시작된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브로드연구소는 이번 에볼라 바이러스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과거 유행했던 에볼라 바이러스와 300곳 이상에서 유전적으로 달라진 점을 발견했다고 28일(현지시간) 밝혔다.

연구소는 시에라리온 정부의 협조 아래 발생 직후 24일 동안 78명의 환자에서 얻은 99개의 에볼라 바이러스 유전자를 분석해 이같은 결과를 얻었다.

분석 결과는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와 과학저널 사이언스를 통해 공개됐으며, 신속한 진단법 및 치료제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이러한 유전적 변형이 이번에 에볼라가 사상 최악으로 창궐한 배경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스티븐 지르 연구원은 “유전적 변형이 사태의 심각성과 관련이 있는지는 모르지만 분석 결과를 공유함으로써 에볼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국제사회의 대응에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소는 또 이번 에볼라 사태가 통상적인 감염 경로인 박쥐가 아닌 인간으로부터 시작됐다고 밝혔다.

에볼라가 자주 창궐했던 중부 아프리카의 바이러스 보균자가 최근 10년 이내에 서아프리카로 넘어왔고 이후 사람 간 전염을 통해 확산됐다는 것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