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아베 방중 조건으로 ‘야스쿠니 참배안한다’ 약속 요구”

“中, 아베 방중 조건으로 ‘야스쿠니 참배안한다’ 약속 요구”

입력 2015-07-23 09:35
업데이트 2015-07-23 16: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마이니치 보도…일본 측에 9월 정상회담 3대 조건 제시

중국이 9월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중국을 방문하고 정상회담을 하려면 야스쿠니(靖國) 신사를 참배하지 않기로 약속하라는 등 3가지 조건을 제시했다고 마이니치신문이 23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양제츠(楊潔지<兼대신虎들어간簾>)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은 지난 16일 베이징(北京)에서 아베 총리의 외교책사로 불리는 야치 쇼타로(谷內正太郞) 일본 국가안보국장과 만난 자리에서 3대 조건을 내걸었다.

3대 조건은 ▲태평양 전쟁 당시의 일본인 A급 전범들이 합사된 야스쿠니를 참배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전달할 것 ▲국교정상화 당시의 중일공동성명(1972년), 중일 평화우호조약(1978년) 등 이른바 4대 정치문서를 준수할 것 ▲무라야마(村山) 담화(1995년 전후 50주년 담화)의 정신을 계승할 것이다.

양 국무위원은 아베 총리가 9월 3일 열리는 항일 승전 기념행사에 참석하지 않더라도 이들 3대 조건을 만족하면 방중을 받아들이겠다는 뜻을 전했다.

마이니치는 이들 세가지 조건 중 야스쿠니 참배 문제는 우익 성향 지도자인 아베 총리가 받아들이겠다고 공식 표명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봤다.

다만, 중국 측은 비공식적으로 뜻을 전해오는 것만으로도 조건이 충족됐다고 판단할 가능성이 있다고 마이니치는 전망했다.

작년 11월과 지난 4월 중일 정상회담이 성사됐을 때도 중국은 야스쿠니와 관련해 같은 요구를 했지만 아베 총리가 공식 표명을 하지 않고도 회담은 성사됐다고 신문은 소개했다.

또 아베 총리의 전후 70년 담화 발표를 앞둔 상황에서 식민지배와 침략에 대한 사죄와 반성을 담은 무라야마 담화의 ‘정신을 답습’하라고 한 것은 역사인식과 관련한 ‘허들’을 낮춰 준 것으로 풀이된다.

침략에 대한 사죄 등 무라야마담화의 ‘키워드’를 아베 담화에 그대로 넣을 것을 요구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일본 정부로서도 담화에 ‘침략’, ‘반성’ 등의 단어를 포함하는 선에서 중국의 반발을 무마할 수 있다는 판단을 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23일 기자회견에서 “대화에 조건을 붙여서는 안 된다”고 밝힌 뒤 “중국의 시진핑 주석과는 2차례 정상회담을 했지만 이런 전제 조건은 전혀 없는 채로 했다”며 보도를 부인했다. 스가 장관은 이어 “대화의 문은 항상 열려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9월 3일 열리는 제2차 세계대전 및 중국의 항일전쟁 승리 70주년 기념 열병식에 아베 총리를 초청했다.

일본 정부는 아베 총리가 그 무렵 중국을 방문해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하되 열병식에는 참석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