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인 팔걸이가 된 흑인소녀?…의류업체 갭 광고 인종차별 논란

백인 팔걸이가 된 흑인소녀?…의류업체 갭 광고 인종차별 논란

입력 2016-04-07 08:39
업데이트 2016-04-07 08: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명의 소녀가 자유분방한 자세로 카메라 앞에 섰다. 양옆의 백인 소녀들이 각각 어려운 물구나무와 요가 자세를 취하고 있고 가운데에는 키 큰 백인 소녀가 키 작은 흑인 소녀의 머리 위에 팔을 걸친 채 서 있다.

미국 의류업체 갭의 아동복 브랜드인 갭키즈가 방송인 엘렌 드제너러스와 협업으로 만든 새로운 라인의 광고가 인종차별 논란에 휘말렸다고 영국 BBC방송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광고 사진을 본 일부 사람들은 이것이 흑인에 대한 차별적인 이미지를 담은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의도적인 인종차별은 아닐 수 있어도 광고 제작자의 사려 깊지 못한 판단 탓에 결과적으로 ‘소극적 인종주의’가 표출됐다는 것이다.

트위터 상에서는 “흑인 소녀들은 하위 존재처럼 보여야 한다는 메시지를 주는 것이냐?” “주류 미디어의 ‘소극적 인종주의’를 완벽하게 보여준다” “흑인 소녀는 백인의 팔걸이가 아니다” 등의 비판적인 반응이 이어졌다.

반면 “한 명이 키가 크고, 한 명은 작으면 보통 이렇게 포즈를 취한다. 인종차별이 전혀 아니다”라며 대수롭지 않다는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도 있었다.

흑인 영화감독 매튜 체리는 자신의 트위터에 반대로 키 큰 흑인 소녀가 키 작은 백인 소녀 머리 위에 팔을 걸고 있는 과거 갭 광고 사진을 이번 광고 옆에 나란히 실으며 “과거 사진이 이번 사진을 정당화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기도 했다.

그러나 한 트위터 사용자는 “과거 사진 속 백인 소녀는 사나워 보이지만 이번 사진 속 흑인 소녀는 짜증나 보인다”며 경우가 다르다고 말했다.

작자 제바 블레이는 허핑턴포스트에 “광고를 처음 보고 ‘인종차별’이라고 생각하진 않았지만 이 광고에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이 과민반응을 하는 것이라는 태도는 옳지 못하다”며 포즈 자체가 아니라 그동안 미디어에서 힘 있는 흑인 여성의 모습을 잘 보여주지 않았다는 데서 비롯된 논란이라고 설명했다.

논란이 이어지자 갭은 “46년 동안 다양성과 포용성을 주창해온 브랜드로서 이번 논란을 인정하며, 상처 준 분들에게 사과한다”며 광고를 교체할 것임을 밝혔다.

그러나 해당 광고는 여전히 갭 트위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