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부산 16분 음속열차 나오나…‘시속 1200km’ 하이퍼루프는 무엇?

서울 부산 16분 음속열차 나오나…‘시속 1200km’ 하이퍼루프는 무엇?

이슬기 기자
입력 2016-05-11 20:23
업데이트 2016-05-11 2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서울 부산 16분 음속열차
서울 부산 16분 음속열차 AFP 연합뉴스
음속에 가까운 속도를 낼 수 있는 초고속 열차의 개발이 현실화되고 있다.

10일(현지시간) 미국 USA투데이, 타임 등에 따르면 초고속 열차 하이퍼루프를 개발하고 있는 기업 ‘하이퍼루프 원’(전 하이퍼루프 테크놀리지)은 최근 8천만 달러(약 930억원)를 새로 투자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두 번째로, 기존 투자와 합치면 총액은 1억 달러(약 1천170억원)를 넘는다.

하이퍼루프는 터널 안에서 자기부상 기술로 열차를 띄워 사람이나 화물을 음속에 가까운 시속 1200㎞로 옮길 수 있는 교통수단을 말한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샌프란시스코까지 30분, 한국 서울에서 부산까지 16여분 만에 주파할 수 있다.

하이퍼루프 원이 거액 투자를 새로 받을 수 있는 까닭은 현실화를 예측할 수 있게 하는 기술발전이다.

새로운 투자자 중에는 제너럴 일렉트릭(GE)의 계열사 GE벤처스뿐만 아니라 프랑스 국영철도(SNCF)까지 있었다.

하이퍼루프 기술은 영화 ‘아이언맨’의 실존 모델로 유명한 억만장자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최고경영자가 자기 상상력을 담은 논문을 통해 2013년 처음 세상에 내놓았다.

현재 하이퍼루프 개발에는 스페이스X의 지원을 받는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뿐만 아니라 하이퍼루프 원, 하이퍼루프 트랜스포테이션 테크놀리지(HTT), 미국항공우주국(나사)과 협력하는 스카이트랜 등이 뛰어든 상태다.

HTT는 머스크의 아이디어를 응용해 선로와 열차에 영구 자석을 장착해 열차를 띄우는 기술인 ‘수동 자기부상’의 특허를 받았다고 전날 발표해 경쟁에 불을 붙였다.

이 기술은 시설 건축비가 상대적으로 적고 열차가 움직일 때만 공중부양이 일어나는 게 특징이다.

정전과 같은 사고가 나더라도 거의 멈출 때까지 열차가 떠있는 까닭에 엄청난 속도를 낼 수 있음에도 안전하다는 게 장점이라고 HTT는 강조했다.

이에 하이퍼루프 원은 원래 이름인 ‘하이퍼 테크놀리지’를 도발적으로 바꾸면서까지 경쟁에 열기를 더했다.

롭 로이드 하이퍼루프 원 최고경영자는 “우리가 가장 먼저 하이퍼루프를 생산할 기업이고 우리가 다른 업체들에 앞서 비전을 구현할 기업”이라고 개명 이유를 설명했다.

하이퍼루프 원은 11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있는 사막에서 지금까지 개발한 기술을 선보이는 시연회를 열기로 했다.

연말까지는 온전한 구색을 갖춰 최고 속도를 내는 데까지 도전할 계획이다.
로이드는 파이낸셜타임스 인터뷰에서 “머스크가 2013년 희미하게 생각해낸 아이디어가 올해 말까지 완전한 시제품으로 변신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가 시제품을 내놓으면 (도시와 주변부를 빨리 오갈 수 있게 돼) 도시 과밀화 문제가 해결되고 땅이 해방될 것”이라며 “하이퍼루프가 도시를 새로 정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