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창설 6개국 외무장관 “영국, 탈퇴 절차 속히 밟아라”

EU 창설 6개국 외무장관 “영국, 탈퇴 절차 속히 밟아라”

입력 2016-06-25 21:31
업데이트 2016-06-25 2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불확실성 길어져 정치 경제 후폭풍 커지길 원치 않아”

독일 외무 “EU, 브렉시트 충격 극복할 수 있다”

유럽연합(EU)의 창설을 주도했던 독일과 프랑스, 이탈리아 등 6개국 외무장관들은 25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모여 영국이 국민투표로 결정한 EU 탈퇴(브렉시트) 이후 대응 방안을 논의한 후 “브렉시트 절차를 속히 이행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회의를 마치고 나서 개최한 공동 기자회견에서 브렉시트로 생긴 금융 혼란과 정치적 불안정이 장기화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며 이렇게 말했다.

독일의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장관은 브렉시트 협상이 “가능한 한 속히 시작돼야 한다”면서도 “유럽 차원의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유럽인들에게 유럽의 중요성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면서 “그 뿐만 아니라 EU가 제 할 일을 수행할 수 있음도 알려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영국인의 결정을 이해하며 존중한다”면서 영국이 탈퇴 조건을 EU와 논의하는 데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프랑스의 장 마르크 에로 외무장관도 “긴급성이 요구된다”면서 “불확실성이 길어져 금융 시장의 혼란과 정치적 후폭풍이 지속되길 원치 않는다”고 밝혔다.

에로 외무장관은 유럽 국가들이 독재정권을 무너뜨리고 민주주의를 확립했다고 환기하면서 “2차 세계 대전 이후 무역을 통해 분쟁을 막아 유럽을 통합한다는 EU 창립 정신을 되새기길 바란다”고 남은 27개 EU 회원국에 촉구했다.

룩셈부르크의 쟝 아셀보른 외무장관도 “탈퇴 협상이 사활을 건 쥐와 고양이의 게임은 아니다”며 “영국이 탈퇴 규정인 EU 헌장 50조 규정에 따르면 된다”고 말했다.

아셀보른 장관은 “탈퇴는 분명한 것”이라며 “영국인들이 분명히 밝혔고, 우리는 그들의 결정을 따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영국이 EU에서 탈퇴하면 EU 비회원국이자 교역 협상에서 등장하는 이른바 ‘제 3의 국가’로 불리겠지만 “부정적인 의미는 전혀 없다”고 덧붙였다.

이들 외교장관은 유럽이 현재 닥친 이주민 문제와 실업, 프랑스 벨기에 테러 이후 제기된 안보 분야 등에서 해야 할 일이 더 많다는 데 동의했다고 말했다.

한편 영국의 EU 탈퇴 국민투표가 찬성으로 나온 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유럽은 바뀌었다”면서 “바뀐 유럽에 대한 기대도 다양하게 나오는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날 모인 외무장관들은 EU의 전신인 유럽경제공동체(EEC)를 세웠던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등 6개국 출신으로, 이들 국가는 1957년부터 유럽 블록경제의 초석을 함께 닦았다는 점에서 1973년 뒤늦게 가입한 영국과는 달리 EU의 핵심국가로 불린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