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러 ‘시리아 해결책’ 합의…내주 1주일 전국적 휴전 추진

미·러 ‘시리아 해결책’ 합의…내주 1주일 전국적 휴전 추진

입력 2016-09-10 09:39
업데이트 2016-09-10 09: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휴전 지속될 경우 이례적 극단주의 퇴치 공동작전도 계획

미국과 러시아가 시리아 사태 해결을 위해 마라톤협상을 벌인 결과 시리아에서 1주일간 임시휴전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AP·AFP통신에 따르면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9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시리아가 오는 12일 일몰시부터 전국적으로 임시휴전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케리 장관은 “휴전상태가 1주일간 유지된다면 이후 미국은 러시아와 협력해 알누스라 전선과 이슬람국가(IS)의 격퇴작전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알누스라 전선은 국제 테러조직인 알카에다의 시리아 지부이다.

케리 장관은 시리아 정부군과 반군이 이번 휴전 합의를 이행한다면 이는 시리아 사태의 잠재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시리아의 폭력 사태를 줄이고, 정치적 전환을 이뤄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라브로프 장관도 이날 합의 사실을 인정하며 이번 휴전 계획은 테러리즘에 대한 전쟁을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이 이끄는 시리아 정권이 합의를 이행할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다.

케리, 라브로프 장관은 지난 2월 극적으로 타결됐다가 파기된 시리아 휴전 체제를 되돌려야 한다는 점을 당시 회담에서 합의하고 지난달부터 협상에 들어갔다.

2011년부터 무려 5년째 알아사드의 정부군과 반군과 격전이 벌어지고 있는 시리아에서는 알카에다, IS와 같은 극단주의, 테러 단체들까지 기승을 부리는 혼잡양상 속에 민간인들이 큰 고통을 받고 있다.

미국은 그동안 시리아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 축출을 추진해 왔지만, 러시아는 오랫동안 지원해온 알아사드 정권이 반군에 밀리자 지난해 시리아 내전에 개입하며 미국과 대립각을 세워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