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어설 때 현기증 느끼면 치매 위험 높다”

“일어설 때 현기증 느끼면 치매 위험 높다”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16-10-12 15:29
업데이트 2016-10-12 15: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네덜란드 연구팀 6204명 24년간 추적조사

 

사진=포토리아
사진=포토리아
누워있거나 앉아있다가 일어섰을 때 혈압이 떨어지면서 현기증을 느끼는 기립성 저혈압이 있는 사람은 치매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 등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네덜란드 에라스무스 메디컬센터의 아르판 이크람프랑크 볼터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치매 또는 뇌졸중 병력이 없는 남녀 6204명(평균연령 68.5세)을 대상으로 24년 동안 진행한 조사분석 결과를 온라인 과학전문지 ‘공공과학도서관-의학’ 10월 11일자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누워있거나 앉아있다 몸을 일으켰을 때 3분 안에 최고혈압인 수축기 혈압이 20mmHg 이상, 최저혈압인 확장기 혈압이 10mmHg 이상 떨어지는 경우를 기립성 저혈압으로 규정했다. 1152명(18.6%)이 이에 해당했다.

 24년의 조사기간에 1176명(19%)이 알츠하이머 치매, 혈관성 치매 등 여러 형태의 치매 진단을 받았다.

 기립성 저혈압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치매 발생률이 15% 높았다. 순간적으로 혈압이 떨어지면 그에 대한 보상반응으로 심박수가 증가하는데 기립성 저혈압에도 심박수가 증가하지 않는 사람은 치매 발생률이 39%나 높게 나타났다.

 기립성 저혈압 기준에는 해당되지 않더라도 일어섰을 때 수축기 혈압 변화는 치매 위험을 8% 올리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갑작스러운 혈압 강하로 혈류량이 줄어들면서 발생한 저산소증이 뇌 조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 결과에 대해 미국 뉴욕 윈스롭 대학병원 노인의학실장 어빙 그로몰린 박사는 뇌 혈류 감소가 인지장애와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증거라고 논평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