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대졸 신입사원의 30% 이상이 3년 내에 회사 떠났다

日 대졸 신입사원의 30% 이상이 3년 내에 회사 떠났다

입력 2016-10-26 09:46
업데이트 2016-10-26 09: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년째 30% 넘어 고용 불안정…사업장 작을수록 퇴사율 높아

일손부족을 겪고 있는 일본에서 대졸 신입사원의 30% 이상이 3년 이내에 직장을 그만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현상은 4년째 이어지고 있다.

26일 일본 후생노동성 자료에 따르면 2013년 3월 대학을 졸업한 신입사원이 취직 뒤 3년 이내에 회사를 그만둔 비율은 31.9%였다. 전년 졸업자에 비해 0.4%포인트 하락한 것이긴 하다.

그러나 후생성은 “거의 제자리 걸음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4년째 30%대의 높은 이직률을 유지하는 것은 “여전히 본인 뜻과 다르게 취업한 사람이 다수라는 의미”라고 봤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고용시장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연차별 이직률을 보면 1년차가 12.8%로 가장 높고, 2년차 10.0%, 3년차 9.1%였다.

사업장들은 이에 따라 취직 1년차에 그만두는 비율을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3년 이내 이직률을 사업장 규모별로 보면 5인 미만은 59.0%, 500~999인은 29.2%, 1천명 이상은 23.6%여서 사업장 규모가 작을수록 이직률이 높았다.

이에 대해 “전체적으로 일손이 부족한 상태이기 때문에 일단 취직한 뒤 직장에 다니면서 희망하는 기업과 직무를 찾아 전직하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업종별로는 숙박·음식서비스업이 50.5%로 가장 높았고, 생활관련 서비스·오락업이 47.9%, 교육·학습 지원업이 47.3%로 뒤를 이었다. 전기·가스 등은 8.5%로 유일하게 한 자릿수였다.

2013년 봄 고교를 졸업한 사람 가운데 3년 이내에 직장을 그만둔 비율은 40.9%로 전년보다 0.9%포인트 상승했다. 임금이 낮은 고졸은 취직이 쉬운 만큼 전직도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후생성은 이직자의 재취직이나 전직을 지원하기 위한 전용 사이트 ‘일 어드바이저’를 올 9월에 개설해 평일 야간이나 토·일요일에 전화나 메일로 개별 상담을 하고 있다.

이번 이직률 통계는 후생성이 고용보험 가입서류가 제출된 신규 피보험자 자격취득자의 생년월일, 자격취득일 등 자료를 토대로 신규졸업자로 추정되는 취직자 수를 학력에 따라 파악하고 그후 이직자 수와 이직률을 모니터링해 산출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