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전문가들 “北 핵실험, 동북아 위협…내년에도 핵심이슈”

中전문가들 “北 핵실험, 동북아 위협…내년에도 핵심이슈”

입력 2016-12-29 12:32
업데이트 2016-12-29 12: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동북아 전략적 균형 파괴”…“中, 한중관계 개선 도모해야”

북한의 잇따른 핵실험으로 동북아시아가 위협에 직면한 가운데 내년에도 북핵 문제가 한반도와 동북아에 영향을 주는 핵심 이슈가 될 것이라고 중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이 전망했다.

29일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뤼차오(呂超) 랴오닝 사회과학원 한반도연구센터 연구원, 진징이(金景一) 베이징(北京)대 한반도연구센터 교수, 다즈강 헤이룽장(黑龍江)성 사회과학원 동북아연구소장 등 전문가들은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은 전망을 내놨다.

뤼 연구원은 “올해 북한은 핵실험들로 국제사회를 분노케 함으로써 역대 최강의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를 받게 됐다”며 올해 2차례에 걸쳐 강행된 북한의 핵실험에 우려를 표시했다.

전문가들은 북한 핵실험이 남북 간의 적대감을 고조시켰을 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한반도의 불확실성도 고조시켰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북한 핵실험에 대응해 한미가 추진 중인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와 한일간의 군사정보보호협정 체결 등에 대해서도 “동북아의 전략적 균형이 깨졌다”고 우려했다.

다즈강 소장은 “한국은 그동안 중국과 미국 사이에서 균형 외교를 펼쳐왔으나 지금은 이런 패턴은 깨어졌다”면서 북한의 핵실험이 한미일 3각동맹을 강화하는 결과로 이어졌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내년도 북한이 6차 핵실험을 강행할지 여부가 핵 문제에 대한 협상 재개를 가늠하는 중요한 변수가 되는 동시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초기 정책이 중요하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진 교수는 이와 관련, “트럼프가 협상에 능한 사업가 출신이란 점에서 처음부터 (북한을) 제압하는 방식으로 나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뤼 연구원 등 전문가들은 그럼에도 “올해보다는 내년에 한반도 상황이 나아질 가능성이 있다”며 “중국은 북한을 특별한 국가로 생각할 것이 아니라 중국의 이익을 추구하고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를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 한국과의 관계개선을 도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