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경제학상 세일러 “트럼프 당선, 행동경제학자는 설명못해”

노벨경제학상 세일러 “트럼프 당선, 행동경제학자는 설명못해”

입력 2017-10-10 10:11
업데이트 2017-10-10 10: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AP 인터뷰…“경제정책은 쉽게 만들어야”·“투자할 때 가장 큰 실수는 과신”

올해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행동경제학자 리처드 H. 세일러 미국 시카고대 교수는 인간 행동이 왜 종종 합리적인 경제 모델에 맞지 않는지 규명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그는 9일(현지시간) 노벨경제학상 수상 직후 AP통신 전화 인터뷰에서 경제 정책을 만들 때 실수할 수밖에 없는 인간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AP가 공개한 세일러 교수와의 일문일답 요지.

-- 지난해 미국 대선 결과를 행동경제학자들은 어떻게 해석하나?

▲ 행동경제학자들이라고 해서 트럼프 대통령의 부상(rise)에 대해 다른 사람들보다 더 잘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경제 정책이 고려해야 할 점은.

▲ 나는 사람들이 실수를 덜 하도록 가르치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경제 정책을 설계할 때는 사람들이 바쁘고 정신없고 게으르다는 사실을 고려해 그들을 위해 가능한 한 쉽게 만들려고 해야 한다.

-- 보통 사람을 위한 투자 조언은.

▲ 대부분 분야에서 사람들이 하는 가장 큰 실수는 지나친 자신감이다. 만약 당신이 개별 증권을 거래한다면 실수하는 게 거의 확실하다. 전문 매니저들은 대부분 그들의 기준보다 더 나은 결과를 낼 수 없으며, 개인이 이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할 이유는 적다.

원래 주식을 산 가격에 갇히면 안 된다. 나는 항상 사람들에게 ‘지금 주식을 사지 않을 거면 팔아야 한다’고 말한다. 주식이 하락하면 사람들은 실수를 인정하고 싶지 않아 팔기를 주저한다.

-- 사람들은 어떻게 부당한 가격에 반응하는가?

▲ 단지 가격이 평소보다 비싸다는 이유로 가치 있게 생각하는 무언가를 사지 않으려 할 수 있다. 이번 주에 동네에서 시카고 컵스(미국프로야구팀) 경기가 있는데 표가 평소보다 비싸게 팔리고, 사람들이 이를 부당하다고 생각하면 경기를 즐길 수 있어도 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이런 공정성의 규범을 위반하는 기업들은 소비자들을 화나게 할 수 있다. 우버(차량호출서비스업체)가 이 교훈을 얻었거나 배우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 금융위기가 경제학 분야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

▲ 1987년 10월 미국 증시 대폭락, IT 버블, 부동산 버블, 금융위기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위기는 행동경제학에 좋은 일이었다. 심지어 내 영화 커리어의 시작과 끝으로 이끌기도 했다. (※세일러 교수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그린 영화 ‘빅 쇼트’(2015)에 카메오로 출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