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 댐사고 실종자 대다수는 어린이·노약자…사망자 늘 듯”

“라오스 댐사고 실종자 대다수는 어린이·노약자…사망자 늘 듯”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7-28 11:19
업데이트 2018-07-28 11: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피해 지역 광범위하고 지형 복잡해 수색작업 30%에 그쳐

SK건설이 시공 중인 라오스 수력발전댐의 보조댐 사고로 실종된 사람의 대다수가 노약자여서 사망자가 상당히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진흙탕 건너 대피하는 가족
진흙탕 건너 대피하는 가족 SK건설이 라오스 남동부 아타프주에 건설중인 세피안-세남노이 수력발전댐의 보조댐 붕괴로 6개 마을이 침수됐다. 한 가족이 진흙탕을 헤치며 집을 떠나 대피하고 있다. 2018.7.26
로이터 연합뉴스
라오스통신(KPL)은 26일 사망자 27명, 실종자 131명, 이재민 3천60명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한 바 있으나 정확한 사망자 숫자를 놓고는 현지 정부당국과 언론의 발표가 혼선을 빚고 있다.

특히 사고의 여파로 홍수 피해를 본 마을이 광범위하고 지형이 복잡한 탓에 수색·구조작업이 더디게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사망자 증가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현지 매체인 비엔티안 타임스는 28일 댐 사고가 발생한 라오스 남부 아타프 주의 고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홍수피해를 본 13개 마을에 대한 수색·구조작업이 전날 오후까지 30%에 그쳤다고 보도했다.

이 관계자는 정글을 끼고 있는 피해 지역이 광범위한 데다 지형이 복잡해 구조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또 거센 물살에 쓸려 내려와 곳곳에 쌓인 흙더미의 높이가 최고 5m에 달하는 등 장애물이 많고 물이 어중간하게 빠져 보트도 띄울 수 없는 지역이 늘어나면서 구조작업이 지연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타프 주 관계자는 “실종자 대다수가 어린이와 노인이라 사망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면서 “불과 4∼5세 어린이 다수가 쓸려 내려갔다는 생존자의 증언도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현재 수천 명이 8개 임시 수용소에 분산 수용돼 있지만 너무 혼잡해 추가 시설 마련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