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 ‘김정남 살해’ 베트남女 석방 불허…인니女는 이미 석방

말레이 ‘김정남 살해’ 베트남女 석방 불허…인니女는 이미 석방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19-03-14 13:59
업데이트 2019-03-14 13: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베트남측 “불공정” 비판 비등…양국 ‘외교 갈등’ 불가피 전망
김정남 암살 피고인인 베트남 여성 도안 티 흐엉(가운데) 서울신문 DB
김정남 암살 피고인인 베트남 여성 도안 티 흐엉(가운데)
서울신문 DB
밀레이시아 당국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이복형 김정남을 살해한 혐의로 기소된 베트남 여성을 석방하지 않기로 했다. 반면 같은 혐의로 재판을 받던 인도네시아 여성은 지난 11일 석방되면서 피고인들에 대한 엇갈린 판단의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말레이시아 검찰은 14일 베트남 국적자 도안 티 흐엉(31)의 살인 혐의에 대한 공소를 취소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으로 밝혔다고 현지 언론이 이날 보도했다.

이 사건 담당 검사인 무하맛 이스칸다르 아흐맛은 “3월 11일 검찰총장에게 제출된 진정과 관련해 우리는 사건을 계속 진행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흐엉은 구속 상태로 계속 재판을 받을 수밖에 없게 됐다.

검찰은 공소를 취소해 달라는 피고 측의 요구를 거부한 이유는 밝히지 않았다.

흐엉을 변호해 온 히샴 테 포 테 변호사는 말레이 검찰이 “심술궂은” 결정을 내렸다고 비판했다.

같은 혐의로 재판을 받던 인도네시아인 피고인 시티 아이샤(27·여)가 지난 11일 검찰의 공소 취소로 석방됐다는 점을 고려하면 불공정한 조처라는 지적이다.
이미지 확대
베트남인 도안 티 흐엉(가운데)이 26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샤알람에서 법원으로 경찰들과 함께 들어가고 있다. AP 연합뉴스
베트남인 도안 티 흐엉(가운데)이 26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샤알람에서 법원으로 경찰들과 함께 들어가고 있다. AP 연합뉴스
테 변호사는 “검찰의 결정에 실망했다. 이는 우리 형사사법 시스템에 대해 좋게 말할 수 없도록 하고 있으며 신뢰를 주지도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흐엉은 이날 오전 재판이 끝난 뒤 현지 베트남 대사관 당국자들을 만나 눈물을 터뜨렸다. 베트남 온라인 신문 징(Zing)은 재판을 취재 중인 자사 기자가 석방 불허에 대한 심경을 묻자 흐엉이 “하느님은 제가 아무것도 안 한 것을 알고 있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그는 베트남 대사관 관계자들에게 함께 체포됐던 시티가 석방돼 행복하지만 자신 역시 무고하긴 마찬가지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레 꾸이 꾸인 주말레이 베트남대사는 말레이 검찰총장의 결정에 “매우 실망했다”면서 “말레이시아가 공정한 판결을 내려 그녀를 가능한 한 빨리 석방하도록 요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베트남 현지에선 인터넷을 중심으로 말레이시아를 성토하는 여론이 들끓고 있다. VN익스프레스 등 온라인 매체들은 흐엉의 석방이 거부됐다는 소식을 신속하게 전했다.네티즌들은 해당 기사에 곧바로 “왜왜왜?”, “흐엉에게 정말 불공평하다”며 분개하고 있다.

일부 네티즌은 “인도네시아 사람은 석방했는데 흐엉의 석방을 불허한 이유가 뭐냐”고 몰아붙였고 “같은 행위로 같이 구속돼서 같이 기소됐으면 흐엉도 당연히 석방돼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

베트남 정부는 공식 반응을 내지 않았지만, 현지 외교가에선 양국의 외교적 갈등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흐엉은 시티와 함께 2017년 2월 13일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김정남의 얼굴에 화학무기인 VX 신경작용제를 발라 살해한 혐의로 체포돼 재판을 받아왔다.

말레이시아 사법 당국은 지난 11일 갑자기 시티에 대한 공소를 취소했다. 재판부는 별도의 무죄 선고 없이 시티를 즉각 석방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장기간의 외교적 로비”를 통해 석방을 성사시켰다고 설명했다.

한편 말레이시아 검찰은 외교적 이익 때문에 법치 원칙을 저버렸다는 비판이 야권을 중심으로 제기되는 상황을 의식해 흐엉의 석방을 불허한 것이 아니냐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