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 들여다본다”…트럼프, 틱톡에 비상경제권법 발동

“중국 정부 들여다본다”…트럼프, 틱톡에 비상경제권법 발동

곽혜진 기자
입력 2020-08-02 09:49
업데이트 2020-08-02 09: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 정부의 이용자 정보 접근 우려”

틱톡
틱톡
중국의 동영상 공유 애플리케이션 ‘틱톡’ 제재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까지 나섰다. 틱톡은 15초짜리 동영상 제작·공유를 위한 앱으로 미국 내 사용자만 1억 6500만명에 달한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1일(현지시간) “중국 정부가 틱톡을 통해 미국인들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안보 문제를 제재 이유로 들었다.

NYT는 또 “중국 국내법상 정부가 기업의 시스템에 접근하는 게 가능하다는 이유로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 안보에 위협을 가한다고 주장한다”며 “화웨이와 ZTE(중싱통신)에 대해서도 (틱톡과) 비슷한 우려가 제기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2020.07.23 워싱턴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2020.07.23 워싱턴 AFP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플로리다주에서 워싱턴DC로 돌아오는 전용기 안에서 기자들에게 “틱톡을 미국에서 금지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행정명령으로 틱톡을 금지할 수 있다는 언급만 한 채 구체적인 금지방안이나 범위는 밝히지 않았다.

NYT는 행정명령과 함께 국제비상경제권법에 따라 미국 앱스토어에서 틱톡을 차단하는 방법과 틱톡 운영사를 ‘면허 없이 물건을 판매해선 안 되는 기업’에 포함하는 방안이 있다고 전했다. 국제비상경제권법은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는 국가나 단체, 개인 등에 대한 제재가 목적이다.

미국 정부는 틱톡을 운영하는 바이트댄스의 본사가 베이징에 있어 공산당과 연계돼 있다고 의심한다. 때문에 틱톡은 최근 디즈니 출신의 케빈 메이어를 최고경영자로 영입하고, 미국에서 1만명을 추가로 고용하겠다고 밝히는 등 ‘미국 친화적인 기업’으로 보이고자 노력해왔다.

틱톡은 이날 성명을 내고 “미국 사용자 정보는 미국 내에 저장한다”며 “사용자 사생활과 안전을 지키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