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트럼프, 대통령직 감당 못해…실패의 결과 참혹”

오바마 “트럼프, 대통령직 감당 못해…실패의 결과 참혹”

이보희 기자
입력 2020-08-20 15:07
업데이트 2020-08-20 15: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찬조연설하는 오바마 전 대통령. EPA 연합뉴스
찬조연설하는 오바마 전 대통령. EPA 연합뉴스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민주당 전당대회 셋째날 찬조연설에 나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비난하고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의 대선 승리를 위한 투표를 촉구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화상 찬조연설에서 “트럼프가 대통령직을 심각하게 대하는 데 좀 관심을 보일 수도 있다고 기대했다. 그가 대통령직의 무게를 느끼게 되고 민주주의에 대한 경외를 좀 발견할지도 모른다고 기대했다. 그러나 그는 전혀 그렇지 않았다”고 말문을 열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그는 일에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공통의 기반을 찾는데도 관심 없었다. 자신과 친구들 말고 누군가를 도우려 대통령직의 놀라운 능력을 사용하는 데 관심이 없었다. 갈구하는 관심을 얻을 수 있게 대통령직을 리얼리티쇼로 취급하지 않는 데 관심이 없었다”고 직격했다.

리얼리티쇼 ‘어프렌티스’를 진행하며 인기를 끌었던 트럼프 대통령의 이력을 겨냥, 대통령직을 리얼리티쇼 취급하며 대중의 관심을 얻는 데 급급했다고 비난한 것.

그는 “트럼프는 그 일을 제대로 감당하지 못했다. 그럴 수 없었기 때문”이라면서 “실패의 결과는 참혹했다. 미국인 17만명이 죽고 수백개의 일자리가 사라졌으며 최악의 충동이 촉발되고 자랑스러운 세계적 평판이 심히 손상됐으며 우리의 민주적 제도가 전에 없이 위협받고 있다”고 비판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민주당 대통령·부통령 후보인 바이든 전 부통령과 카멀라 해리스 상원의원의 자질과 인간적 품성을 내세우고 지지를 당부하면서 “그들은 대통령을 비롯해 누구도 법 위에 있지 않다는 걸 믿는다”며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다.

이어 “이런 것들은 공화당의 원칙도, 민주당의 원칙도 아니다. 이건 미국의 원칙”이라며 “하지만 지금 이 대통령은 이런 것들을 믿지 않음을 보여줬다”고 덧붙였다.

또한 “미국의 진정한 힘은 세계에 모범이 되는 데서 나오는 것을 바이든 전 부통령이 알고 있고 이런 나라는 독재자가 아니라 민주주의와 함께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을 독재자에 비유하기도 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트럼프 행정부가 대선 승리를 위해서라면 민주주의도 파괴할 수 있다고 강도 높은 경고도 했다.

그는 “이 대통령은 여러분의 냉소주의에 기대고 있다. 그들은 정책으로 이길 수 없다는 걸 알아서 가능한 한 투표하기 힘들게 만들려고 하고 여러분의 표가 의미 없다고 설득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시민의 책임감을 통한 적극적 투표로 바이든 전 부통령을 당선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보희 기자 boh2@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