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삼성전자 제치겠다” 샤오미의 꿈, 검열 논란에 좌절하나

“삼성전자 제치겠다” 샤오미의 꿈, 검열 논란에 좌절하나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1-10-01 15:56
업데이트 2021-10-01 15: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샤오미 플래그십 스마트폰 Mi 10T 5G
샤오미 플래그십 스마트폰 Mi 10T 5G
중국 가전업체 샤오미가 스마트폰 업계에서 삼성전자를 따라잡겠다고 선언했지만 유럽에서 제기된 ‘검열 기능’ 논란에 발목이 잡힐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1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리투아니아에 이어 독일도 샤오미 스마트폰의 검열 기능에 대해 조사에 착수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삼성전자를 제치겠다는 샤오미의 글로벌 야심은 물론이고 다른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도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지난달 21일 리투아니아 국방부 산하기관은 유럽에서 널리 판매 중인 샤오미 스마트폰에 ‘티베트 해방’, ‘대만 독립 만세’ 등의 단어를 감지해 검열하는 기능이 내장돼 있다는 내용이 담긴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샤오미 Mi 10T 5G 모델 소프트웨어의 해당 기능은 유럽연합(EU) 지역에서 꺼져 있지만 언제든 원격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리투아니아 국방부 차관은 이 보고서를 소개하며 기자들에게 “중국 스마트폰은 새로 사지 말고, 이미 구입해서 쓰고 있다면 가능한 한 빨리 없애버릴 것을 권장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당시 샤오미는 리투아니아 국방부 발표에 대해 성명을 내고 “검색, 통화, 웹브라우징, 제3자 통신 소프트웨어 사용 같은 스마트폰 이용자의 개인 행위를 제한하거나 차단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 역시 “유럽의 반중 선봉인 리투아니아가 새로운 술수를 부렸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리투아니아에 이어 독일 사이버안보 당국도 샤오미 스마트폰에 대해 관련 조사에 착수했다고 지난달 29일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레이쥔 샤오미 회장
레이쥔 샤오미 회장 EPA 연합뉴스
미국 리서치기관 모닝스타의 댄 베이커는 SCMP에 “검열기능 논란이 리투아니아에만 국한된다면 샤오미가 입는 타격은 작겠지만 다른 나라, 심지어 EU가 비슷한 결론을 내린다면 파장이 훨씬 심각할 것이고 중국의 다른 스마트폰 제조사들도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에 따르면 샤오미는 리투아니아 스마트폰 시장의 45%를 점유하고 있지만, 리투아니아의 인구는 약 300만명에 불과하다. 샤오미는 리투아니아에 올해 상반기 40만개의 스마트폰을 수출했다.

그러나 독일은 다르다. 독일은 유럽에서 샤오미의 두번째 큰 시장으로, 샤오미는 올해 상반기에만 920만개의 스마트폰을 독일에 수출했다.

게다가 리투아니아에 이어 독일 역시 비슷한 결론을 내린다면 샤오미 스마트폰에 대한 불신은 전 유럽으로 확산하게 된다.

다만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의 린다 수이는 “미국 정부가 샤오미를 화웨이나 ZTE와 달리 블랙리스트 목록에 올리지 않는 한 사이버안보 조사의 영향은 관리가능할 것”이라고 봤다.

카날리스에 따르면 2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샤오미는 17%의 점유율을 확보해 애플(14%)을 제치고 2위를 차지했다. 샤오미의 시장 점유율은 1위인 삼성전자의 19%에 근접했다.

샤오미가 창사 이래 분기별 스마트폰 점유율에서 2위에 오른 것은 지난 2분기가 처음이다.

다른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조사에서 샤오미는 지난 6월 17.1%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해 삼성전자(15.7%)를 제치고 ‘반짝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이에 레이쥔 샤오미 회장은 지난 8월 “샤오미는 향후 3년 안에 (스마트폰) 세계 1위 자리를 차지하겠다”고 공개 선언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