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의 고객메일 들여다보기는 도청법 위반소지”

“구글의 고객메일 들여다보기는 도청법 위반소지”

입력 2013-10-02 00:00
업데이트 2013-10-02 16: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루시 고 판사 판단…본안 심리 개시 예정

미국 연방법원이 지(G)메일을 이용한 구글의 광고 비즈니스 모델이 도청법을 위반한 소지가 있다고 판단해 파장이 일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연방 북부지방법원 루시 고 판사는 지난달 26일 구글이 자사 이메일 ‘지메일’ 고객의 이메일 내용에 포함된 주요단어(키워드)를 자동으로 찾아내(스캔) 온라인 광고에 이용하는 것이 연방과 캘리포니아주 도청법에 어긋날 소지가 크다고 판단했다.

1986년에 도입된 이 법은 승인이 없는 상태에서 제3자가 다른 사람들의 커뮤니케이션을 중간에서 가로채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법원의 이번 판결은 일부 지메일 이용자들이 낸 유사소송을 병합, 집단소송으로 재판 대상이 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미국 법원은 이에 따라 조만간 이 사건에 대한 본안 심리를 개시할 예정이다.

특히 집단소송의 권한이 인정돼 구글이 패소하면 배상액 규모가 엄청날 수 있어 주목된다. 지메일은 전세계에서 4억5천만명이 사용하고 있다.

또 장기적으로 야후나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다른 이메일 서비스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됐다.

에릭 골드만 산타클라라대학 법연구소의 첨단기술 담당 소장은 “이번 판결은 전체 이메일 산업을 재편할 수 있는 폭발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고 판사는 “구글이 이메일 내용을 스캔해 이용자의 프로필을 만들고 표적광고에 이용한다”며 “이 같은 행위는 이메일 전송과정과 전혀 관계가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구글은 재판과정에서 “지메일 내용 스캔은 회사 직원이 직접 보는 게 아니라 자동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스팸이나 바이러스를 탐지해 내는 것과 다를 게 없다”며 “이용자도 계정을 만들 때 이용약관에 서명함으로써 이에 동의했다”고 주장했다.

앞서 전날인 지난달 25일 제9순회항소법원은 구글이 ‘스트리트뷰’ 서비스 준비 과정에서 와이파이(Wi-fi)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개인정보를 대규모로 수집한 것이 연방 도청법을 어긴 것이라는 기존 판결을 재고해 달라는 구글 측의 요청을 기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