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셧다운 1주일 피해 총 16억달러…홍수재해 수준”

“美 셧다운 1주일 피해 총 16억달러…홍수재해 수준”

입력 2013-10-08 00:00
업데이트 2013-10-08 16: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IHS 분석…”전체 경제규모에 비해 미미한 수준” 지적도

지난 한 주 동안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부분 업무정지)의 누적 피해액이 16억 달러(약 1조7천180억원)로 집계됐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8일 시장조사기관인 IHS를 인용, 보도했다.

셧다운이 오는 수요일(9일)까지 계속되면 누적 피해액은 20억 달러(2조1천474억원)로 늘어 지난달 콜로라도주를 강타한 홍수 피해와 비슷해진다.

IHS는 이번 셧다운의 피해액이 평일 하루 1억6천만 달러씩 늘어난다면서 이 같은 추산액을 내놨다.

지난달 말 미국 의회가 올해 예산안을 정쟁으로 통과시키지 못하면서 연방정부 업무는 국방 등 핵심 기능만 제외하고 대거 중단된 상태다.

이에 따라 비(非)핵심 업무에 종사하는 공무원 수십만 명이 무급 강제휴가로 ‘일시적 실업자’가 돼 내수침체 피해가 계속되고 있다.

또 정부수주 지연으로 록히드마틴 같은 방산업체가 덩달아 대거 직원들을 놀리고 그랜드캐니언 등 국립공원의 폐쇄로 지역 관광업계가 타격을 받는 등 여파가 적지않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미국 재계에서는 이 때문에 의회가 셧다운을 풀어야 한다는 촉구가 빗발치지만, 건강보험 개혁안(일명 오바마케어)을 둘러싼 민주·공화당 사이의 갈등이 깊어 정쟁 해결이 쉽지 않다.

그러나 워싱턴포스트(WP)는 국방부 직원 35만여명이 7일 업무를 재개한데다 의회가 무급휴직 공무원에게 급여를 주는 방안을 추진하는 만큼 셧다운의 경제피해가 대폭 줄어들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실제 IHT가 추산한 셧다운 피해액도 미국 전체 경제(15조7천억 달러)와 비교하면 0.01% 규모에 그친다.

훨씬 더 큰 문제는 오는 17일이 기한인 국가채무 상한 증액 협상이라고 WP는 덧붙였다.

의회가 정국 경색 탓에 이 협상을 결렬시키면 달러화 폭락·국가채무 불이행(디폴트) 등 문제가 닥치면서 미국 경제는 2008년 금융위기 때 같은 재앙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