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법원 “NSA 감시요청, 무조건 승인한 건 아냐”

美법원 “NSA 감시요청, 무조건 승인한 건 아냐”

입력 2013-10-16 00:00
업데이트 2013-10-16 1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보사찰 관련 사안을 담당하는 미국의 비밀법원인 해외정보감시법원(FISC)이 국가안보국(NSA)으로부터 접수한 감시요청 허가서 가운데 약 4분의 1에 대해 수정 명령을 내렸던 것으로 나타났다.

FISC의 레지 월튼 재판장은 지난 11일(현지시간) 다이앤 파인스타인 상원 정보위원회 위원장에게 보낸 서한에서 “법원은 지난 7월1일부터 9월30일까지 NSA가 제출한 요구서 중 24.4%에 대해 실질적인 수정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 서한은 법원이 NSA의 ‘엿듣기’ 권한을 제대로 감독하지 못했다는 외부 비판에 대응하기 위해 파인스타인 위원장이 15일 공개한 것이다.

NSA의 정보수집 활동을 옹호해 온 파인스타인 위원장은 성명에서 “이 서한 내용으로 볼 때 법원이 NSA의 요청에 고무도장을 찍듯 자동으로 승인한 것이 아니라 신중한 법적 해석을 바탕으로 해왔다는 사실이 명백해졌다”고 말했다.

파인스타인 위원장은 “법원이 진지하게 권한을 행사하고 있다는 내 믿음 역시 더욱 확고해졌다”고 강조했다.

월튼 재판장 역시 이 서한에 적힌 사실을 거론하면서 “법원이 NSA가 제출한 요청서 가운데 99%를 승인했다는 법무장관의 추정은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법무장관의 계산은 합법적인 신청서의 다수가 ‘법원이 거절할 것’이라는 사실을 인지한 이후 변경되거나 보류되는 사실을 반영하지 않은 것”이라고 부연했다.

NSA는 최근 몇 개월간 중앙정보국(CIA) 전 직원 에드워드 스노든의 폭로로 미국 안팎에서 무차별적 정보수집 활동을 해왔다는 비판에 시달렸다.

이번 주 들어서는 NSA가 전 세계 인터넷 이용자들의 이메일 주소록과 메신저 친구 목록까지 수집해왔다는 보도가 또 나오는 등 파문이 계속되고 있다.

NSA는 이러한 행위가 사생활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보감시법원과 의회, 다른 정부 기관의 엄격한 감독 아래에서 이뤄진 일이라고 주장해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