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애플·MS·페북, 美 불법사찰 공동 대응

구글·애플·MS·페북, 美 불법사찰 공동 대응

입력 2013-12-11 00:00
업데이트 2013-12-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바마에 서한 보내 개혁 요구… 정부 감시용 사이트도 개설

구글과 애플, 트위터 등 미국 정보기술(IT) 기업들이 미국 정부에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출했다. 무분별하게 자행되고 있는 정보당국의 인터넷 사찰 때문이다. 정부의 불법 사찰을 ‘악성코드’나 ‘사이버공격’ 등에 비유하며 원색적인 비난까지 쏟아내고 있다. 이들 기업은 지난 5월 에드워드 스노든 전 중앙정보국(CIA) 요원이 미 정부의 감시 활동을 전면 폭로한 뒤 처음으로 공동 대응을 하고 나선 것이라 적지 않은 반향이 예상된다.

9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구글, 애플, 트위터, 마이크로소프트(MS), 페이스북, AOL, 링크트인, 야후가 결성한 ‘정부 감시 활동 개혁 그룹’은 이날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의회에 공동 서한을 보냈다. 기업들은 서한에서 “정부의 국가 안보를 지켜야 하는 의무를 이해하지만 지난 여름 폭로된 정부의 감시 활동은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권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에 개혁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기업들은 정부가 IT 기업에 고객 관련 정보를 요청할 때 그 사실을 이용자들에게 알릴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별도 관리 감독 등의 개혁도 주문했다. 이 서신은 뉴욕타임스와 워싱턴포스트 등 미 주요 일간지에 광고 형식으로 게재됐다. 이들은 또 정부 개혁 감시를 목적으로 한 별도 사이트(http://reformgovernmentsurveillance.com)까지 개설해 본격적인 실력 행사에 나섰다.

기업의 최고경영자(CEO)들도 이 웹사이트에서 직접 개혁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는 “감시 활동 폭로로 정부 기관의 정보 수집 활동에 적절한 한도를 정하고 투명성을 높여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며 “잘못된 일은 이번 기회에 바로잡아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가디언은 미국 국가안보국(NSA)과 영국 정부통신본부(GCHQ)가 캐릭터와 계정을 만들어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X박스 라이브, 세컨드 라이프 등의 온라인 게임에서 사찰 활동을 해 왔다고 스노든의 문건을 바탕으로 새롭게 보도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3-12-11 17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