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美, 12월 금리 인상은 부담”

블룸버그 “美, 12월 금리 인상은 부담”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15-07-22 23:48
업데이트 2015-07-23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채 유동성 축소… 체감 충격 커져”

미국 기준금리 인상 시기에 대해 상당수 전문가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이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12월 기준금리 인상을 부담스러워 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힌 블룸버그의 22일 분석 보도로 뒷받침된다.

블룸버그는 12월 기준금리 가능성이 낮은 이유로 미국 국채 유동성을 꼽았다. 2010~2014년의 하루 평균 국채 거래량은 평균 2088억 달러이지만 매년 마지막 2주 동안 하루 평균 거래량은 1370억 달러로 떨어진다.

미 국채 유동성이 떨어졌을 때 금리를 올리면 시장이 받는 충격이 평소보다 훨씬 더 크기 때문에 가뜩이나 불안정한 글로벌 금융 정세 속에서 감행하기에 위험한 시나리오라는 게 블룸버그의 시각이다.

반면 9월 금리 인상 전망에 대한 시장의 믿음은 견고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최근 민간 이코노미스트 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례조사에서 82%가 9월을 가장 유력한 금리 인상 시기로 꼽았다. 12월을 꼽은 이는 15%였다. 오는 28~29일 FOMC에서 금리 인상이 단행될 가능성을 점친 이는 한 명도 없었다.

하반기에 두 차례 기준금리 인상이 있을 것이란 전망은 지지세를 잃고 있다. 기준금리가 빠른 속도로 인상된다면 9월과 12월이 유력한 시기였지만, 이미 달러 강세에 따른 미국 기업들의 실적 악화 우려가 제기되며 기준금리 인상 유인이 줄었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5-07-23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