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벵가지 특위, 클린턴 잘못 새증거 못 찾아

美벵가지 특위, 클린턴 잘못 새증거 못 찾아

김미경 기자
김미경 기자
입력 2016-06-29 18:18
업데이트 2016-06-29 18: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행정부 중요 서류·증인 감췄다” 클린턴 대권가도에 힘 실릴 듯

미국 공화당이 주도한 하원 벵가지 특별조사위원회가 28일(현지시간) 2년여의 활동에도 힐러리 클린턴 당시 국무장관의 판단과 조치가 잘못됐다는 것을 입증할 새로운 증거를 찾지 못했다. 이에 따라 이번 조사가 민주당의 사실상 대선 후보인 클린턴의 대권 가도에 힘을 실어 줄 것으로 보인다.

미 하원 벵가지 특위는 이날 700여쪽에 달하는 벵가지 참사 진상조사 보고서를 공개하고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중요 서류와 증인들을 감추고 있다고 비판했다. 트레이 가우디 위원장을 비롯한 특위 소속 공화당 의원들은 기자회견에서 “오바마 정부가 진실을 감추고 있다”며 모든 서류와 증인을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보고서에서 클린턴이 2012년 리비아를 방문할 계획이었고, 테러로 숨진 크리스토퍼 스티븐스 미국 대사는 벵가지 임무가 계속해서 이어지길 희망했다고 밝혔다. 특히 클린턴은 카다피 정권 실각 과정에 큰 역할을 하고 이를 재임 성과로 삼으려 했으며 이 과정에서 리비아 영사관이 테러 위험에 안전하지 않다는 여러 징후를 무시했다고 주장했다.

특위 소속 짐 조던, 마이크 폼피오 의원은 “벵가지에서 국무부(영사관)의 존재가 왜 중요했는지가 여전히 불투명하다”면서 “설령 클린턴과 국무부, 나아가 미국의 이득에 중요하다 하더라도 위험 요인들을 깨끗이 없앴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클린턴은 벵가지 시설(영사관) 즉각 폐쇄를 지시할 명백한 기회가 있었지만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결국 미국인 4명의 목숨을 잃었다”고 덧붙였다.

벵가지 특위는 2년여에 걸쳐 700만 달러를 들여 진상조사를 진행했다. 특위 소속 공화당 의원들은 여러 차례의 기존 조사로 인해 벵가지 사태에 대해 더는 나올 게 없다는 여론과 시간 및 예산 낭비라는 압박을 피하기 위해 새로운 사실을 발굴하려 노력해 왔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6-06-30 1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