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트위터 중독’… 정책 족쇄 되나

트럼프의 ‘트위터 중독’… 정책 족쇄 되나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16-12-01 22:54
업데이트 2016-12-02 01: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언론 불신에 기자회견 피하면서 트위터 통해 내각인선까지 발표

보좌진도 거치지 않고 트윗 올려 “향후 결정에 혼선 부를 것” 우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의 트워터 사랑은 당선 이후에도 식을 줄 모른다. 내각 인선도 트위터를 통해 발표하고 ‘막말 트윗’도 여전하다. 기자회견은 피하면서 트워터에 집착하는 행태가 대통령직의 무게감을 떨어뜨리고 향후 정책결정에 족쇄가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30일(현지시간) 트럼프의 ‘트워터 중독’은 현직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실시간 자신의 생각을 표출할 새로운 창구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09년 3월 열린 트럼프의 트위터 계정 팔로어는 1640만여명에 달한다. 트럼프는 지난 18개월 동안 미국 100대 언론 매체 중 43곳이 힐러리 클린턴을 지지하는 와중에서도 거친 표현이 섞인 트워터 글을 통해 지지층을 결집시켰다. 그는 지난달 11일에는 CBS 인터뷰에서 “앞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사용을 자제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이틀 뒤인 13일 약속을 뒤집고 자신을 비판했던 뉴욕타임스(NYT)에 대해 “형편없다”며 비난 트워터 메시지를 보냈다.

트럼프는 주로 이른 새벽이나 늦은 밤 시간대에 트워터 메시지를 발산하며 노익장을 과시한다. 그는 30일 새벽 3시 44분에 “미국을 다시 위대하기 만들기 위한 국정에 몰두하기 위해 개인 사업에서 물러날 것”이라고 밝혔고, 29일 새벽 3시 55분에는 “미국 국기를 불태우는 것이 용납돼서는 안 된다”며 정치적 논쟁에 불을 붙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트럼프는 공화당 후보로 확정된 지난 7월 말 이후 공식 기자회견을 열지 않아 주류 언론에 대한 불신이 여전하다는 점을 드러냈다. 트럼프의 측근 뉴트 깅그리치 전 하원 의장은 지난달 29일 “백악관 기자단이 (기자회견 안 하는 것이) 싫다고 하면 기자단을 해체하면 된다”고 밝혔다.

글자 수를 제한하는 트워터 메시지는 인내심을 요구하는 토론과 달리 원하는 사람의 말만 듣고 대화를 나누는 효과가 있다. 엘빈 림 웨슬리언대 교수는 보스턴글로브에 “140자만 쓰는 트위터와 같이 간결한 언어가 유권자에게 주는 반향이 오히려 크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트럼프가 지난달 27일 클린턴 측의 재검표 움직임에 반발해 “불법으로 투표한 수백만표만 아니었으면 내가 총득표수에서도 이겼을 것”이라고 주장한 것처럼 당선자로서 검증되지 않은 메시지를 여과 없이 내뱉어 정책 결정에 혼선을 줄 우려가 나온다. 이는 언론의 검증은 물론 보좌진도 거치지 않고 전달되기 때문이다.

트위터 관계자는 온라인 매체 슬레이트에 “편파적이거나 증오를 유발하는 발언을 일삼는 정부 고위급 인사들의 계정을 제재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고 대통령도 예외가 아니다”라고 경고했다.

미국 퀴니피액대학이 지난달 17일부터 20일까지 1071명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트럼프가 개인 트위터 계정을 폐쇄해야 한다는 응답은 59%에 달했다. 개인 트위터 계정을 가져도 좋다는 응답은 35%에 그쳤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당선 후 참모진에 트워터와 페이스북 계정 운영을 맡겼다. 여론조사를 주도한 팀 몰리 연구원은 “유권자들이 트럼프에게 이제 당신은 지도자이기 때문에 언행에 책임감을 느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6-12-02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