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끝’ 트럼프… 前정보수장 기밀취급 권한 빼앗나

‘뒤끝’ 트럼프… 前정보수장 기밀취급 권한 빼앗나

최훈진 기자
입력 2018-07-24 22:38
업데이트 2018-07-24 23: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바마 행정부 6명 잇단 외교혹평 ‘보복’

백악관 “정치적 남용”… 안보 약화 우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직 정보당국자 6명의 기밀취급 권한을 박탈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23일(현지시간) 백악관이 밝혀 논란이 일고 있다. 미 정보 당국자들은 현직에서 물러난 이후에도 기밀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자문하는 등의 목적으로 기밀을 취급할 수 있다.

백악관은 이들이 기밀을 정치적으로 남용했다는 명목을 내세웠다. 그러나 미 주류 언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미·러 정상회담 등 이슈가 터질 때마다 자신에게 혹평한 인사들만 겨냥했다고 지적했다. 또 이 같은 조치는 법적으로 유례가 없으며, 국가 전체의 안보체계 기반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세라 허커비 샌더스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존)브레넌(전 중앙정보국(CIA) 국장)의 기밀취급권을 박탈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브레넌뿐만 아니라 코미, 헤이든, 클래퍼, 라이스, 매케이브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브레넌 전 CIA국장은 지난 16일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미·러 정상회담에서 2016년 러시아의 미 대선 개입을 부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옹호한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반역적”이라고 비판했다.

브레넌을 비롯해 코미 전 연방수사국(FBI) 국장, 마이클 헤이든 전 CIA 국장, 제임스 클래퍼 전 국가정보국(DNI) 국장, 수전 라이스 전 백악관 안보보좌관, 앤드루 매케이브 전 FBI 부국장 등 6명은 주로 버락 오바마 전 행정부에서 일했다.

미국과학자연맹(FAS)의 국가기밀 담당인 스티븐 애프터굿 국장은 “기밀 유지를 안보를 위한 것이 아닌, 정치적 수단으로 이용하는 조치”라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정당한 근거 없이 단순히 자신을 비판했다는 이유로 ‘나는 그들이 싫어’라며 전직 당국자들의 기밀취급권을 박탈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8-07-25 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