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할머니 코로나 완치 후 재활센터 입원, 간병인이 53년 전 헤어진 여동생

美 할머니 코로나 완치 후 재활센터 입원, 간병인이 53년 전 헤어진 여동생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8-04 11:07
업데이트 2020-08-04 11: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19 완치 후 부러진 팔의 재활을 위해 미국 네브래스카주 던클라우 가든스 재활센터 및 요양원에 입원한 도리스 그리펜(왼쪽) 할머니가 이 센터 간병인으로 일하는 배다른 여동생 베브 보로와 53년 만에 재회해 단란한 한때를 보내고 있다. 던클라우 가든스 재활센터 제공 미국 CNN 홈페이지 캡처
코로나19 완치 후 부러진 팔의 재활을 위해 미국 네브래스카주 던클라우 가든스 재활센터 및 요양원에 입원한 도리스 그리펜(왼쪽) 할머니가 이 센터 간병인으로 일하는 배다른 여동생 베브 보로와 53년 만에 재회해 단란한 한때를 보내고 있다.
던클라우 가든스 재활센터 제공 미국 CNN 홈페이지 캡처
미국 네브래스카주에 사는 도리스 크리펜(73) 할머니는 지난 5월 몸이 좋지 않자 독감이겠거니 했다. 몸이 차츰 약해지는 것 같더니 침대맡에서 졸도해 팔을 다쳤다.

병원 응급실에 실려 가 그곳에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한 달 가까이 치료를 받아 완치돼 음성 판정을 받고 퇴원했다. 하지만 부러진 팔은 쉬 낫지 않았다. 해서 주도 링컨에서 자동차로 한 시간쯤 떨어진 던클라우 가든스 재활센터 및 요양원에 입원했다.

어느날 재활센터에서 20년 동안 간병인으로 일해 온 베브 보로(53)는 무심코 입원 환자 명단을 훑어보다 낯익은 도리스 크리펜이란 이름을 발견했다. 갓난 아기였을 때 헤어진 배다른 언니 이름이었다. 보로는 “‘맙소사, 이건 우리 언니야’라고 생각했다”고 털어놓았다. 그 긴 세월 애타게 찾아 다녔던 언니가 뜻하지 않은 순간에 나타난 것이었다고 CNN 방송이 3일(현지시간) 전했다.

같은 아버지와 다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나이 차이가 스무 살이나 나는 자매는 네브래스카주에서 함께 성장했지만 53년 동안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었다. 배다른 자매는 서로를 애타게 찾았다고 했다. 배다른 자매가 그럴까 싶기도 한데 사연이 있었다.

아버지가 크리펜의 어머니와 살고 있을 때 생후 6개월 밖에 안된 보로 등 다섯 아이를 주 당국이 강제로 입양시켰던 것이다.

지난달 27일 보로는 아무것도 모르는 크리펜에게 여동생이란 사실을 털어놓기로 했다. 크리펜은 당시 들을 수가 없어 보로는 흰 칠판에다 아버지의 이름을 적었더니, 크리펜도 자기 아버지라고 확인했다. 보로는 자신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나도 그래요! 우리 아빠 눈을 닮았어요”라고 말했다. 크리펜은 “의자에서 굴러 떨어질 뻔했다. 눈물을 멈출 수 없었다. 여동생을 찾았다니 기쁘기만 했다. 어릴적 헤어져 53년이 됐다. 난 그애를 껴안아줬다”고 말했다.

크리펜은 여러 차례 보로의 행적을 추적했으나 실패했다고 했다. 보로 역시 열네 명이나 되는 형제자매들을 찾으려 했다고 했다. 이제 보로는 크리펜을 자기 가족에 소개하려 한다고 했다. nion.

크리펜은 자신이 코로나에 감염돼 아팠던 것이 가족들에게로 이끌었다며 “은총”이라고까지 했다. 그녀는 동생 손을 꼭 붙잡고 “이걸로 모든 것을 보상 받았다”고 말했다. 보로는 언니에게 “우리 둘의 눈은 아버지 눈 그대로에요”라고 말했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