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호주 산불에서 살아남은 코알라 야생으로 돌아가요

지난해 호주 산불에서 살아남은 코알라 야생으로 돌아가요

임병선 기자
입력 2020-11-03 08:36
업데이트 2020-11-03 08: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BBC 동영상 캡처
BBC 동영상 캡처
이 코알라 기억하시겠나요? 지난해 11월 호주 산불 현장에서 화마를 피해야 하는데 어디로 피해야 할지 몰라 큰일을 당할 뻔했는데 한 여성에 의해 황급히 구조된 그 코알라, 머턴입니다.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주 캥거루 아일랜드 야생공원이 산불 화마로 많은 피해를 입었는데 코알라 서른 마리가 숨지고 수백개의 우리가 파괴됐죠. 하지만 머턴이 구사일생으로 목숨을 건졌다는 소식에 그의 쾌유를 기원하는 성금이 전 세계에서 답지해 공원이 종 다양성을 복원하고 머턴이 야생으로 돌아갈 수 있는 기력을 회복했다고 영국 BBC가 2일(현지시간) 전했습니다.

구조 당시 화상에다 굶주림, 탈수까지 겹쳐 아주 상태가 좋지 않았고 무엇보다 정신적 충격이 컸는데 다른 고아 녀석들과 어울리며 사회성도 어느 정도 회복해 야생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겠다는 판단이 내려진 것이랍니다.

그렇게 머턴이 야생으로 돌아갔습니다. 대나 미첼과 그녀의 아들이 나무 위에 올라간 머턴에게 손을 흔들며 작별 인사를 합니다. 머턴과 헤어지는 일은 슬프지만 코알라가 야생으로 돌아가는 것은 그에게 더 좋은 일일 것입니다. 화마가 덮치기 전 그곳에는 5만 마리의 코알라가 있었는데 지금은 5000~1만 마리 정도만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답니다. 그리고 지금도 이곳 공원에는 수백 마리의 어린 코알라 고아들이 남아 있어 이들도 조금 더 자란 뒤 머턴처럼 야생으로 돌려보낼 거랍니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