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색으로 태어나 뉴질랜드인의 사랑 받은 키위 세상 떠나

흰색으로 태어나 뉴질랜드인의 사랑 받은 키위 세상 떠나

임병선 기자
입력 2020-12-29 08:17
업데이트 2020-12-29 08: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AFP 자료사진
AFP 자료사진
뉴질랜드의 나라새 키위는 보통 회갈색 털을 지닌다. 과일 키위가 그 이름을 얻은 것도 보통 ‘북섬 브라운 키위’라고 불리는 이 새의 색깔과 비슷하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런데 2011년 5월 1일 뉴질랜드 북섬 와이라라파 푸카하 산 브루스 국립야생센터에서 희귀한 흰색 키위가 태어났다. 마누쿠라(Manukura)라고 이름 붙여진 암컷이었다. 무게 250g으로 태어난 마누쿠라는 지난해 5월 리틀베리어섬에서 데려온 키위새들 사이에서 태어났다. 백변종(알비노)은 아니었다.

희귀한 새가 태어나자 사람들의 관심이 쏟아졌다. 어린이 책에 등장하고 전세계에서 마누쿠라의 모양을 본뜬 장난감이 팔릴 정도로 유명해졌다.

그런데 이 마누쿠라가 지난 27일 세상을 떠났다는 안타까운 소식을 영국 BBC가 전했다. 그 새의 페이스북 계정은 “진짜 친구 마누쿠라를 잃었음을 알리게 돼 매우 슬프다”는 글이 올라왔다. 공원 레인저 요원들과 수의사들이 평화롭게 잠든 그를 지켜봤다고 했다.

마누쿠라가 태어난 뒤 이듬해까지 두 마리의 흰색 키위가 더 태어났다. 그녀는 처음에는 수컷 판정을 받았지만 나중에 암컷으로 바로잡혔는데 그 점이 그녀를 더욱 특별하게 만들었다. 센터 측은 야생에 풀어주면 공격받기 쉽다며 그동안 죽 실내 공간에서 돌봐왔다.

환경보호 운동가들과 팬들이 추모의 글을 소셜미디어에 잇따라 올리고 있다. 유명 어린이책 작가이며 직접 찾아 지켜본 뒤 책 ‘마누쿠라 흰색 키위’를 쓴 조이 코울리는 뉴질랜드 헤럴드 인터뷰를 통해 “난 마누쿠라의 특별함과 모든 아이들의 각별함을 연결시키는 일을 즐겁게 했다”며 애도했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