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당총서기 취임 1년…개혁·보수 모두 실망”

“시진핑 당총서기 취임 1년…개혁·보수 모두 실망”

입력 2013-11-04 00:00
업데이트 2013-11-04 11: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진핑(習近平)이 중국의 새 지도자로 재임한 지난 1년은 자유주의 세력과 보수주의 세력 모두에게 실망을 안겨준 시간이었다는 평가가 나왔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4일 이번 중국 공산당 18기 중앙위원회 3차 전체회의(3중전회)는 “새 공산당 지도자가 개혁주의자인가, 아닌가”라는 1년 간 계속된 질문에 대한 답을 기다리는 자리라면서 공산당 총서기 취임 1주년을 맞는 시진핑에 대한 각계의 평가를 소개했다.

시진핑은 지난해 11월15일 18차 1중전회에서 공산당 총서기로 선출되며 사실상 중국의 새 지도자가 됐다.

신문은 취임 1년을 앞둔 지금 개혁 진영과 보수 진영 모두 시진핑에 대한 기대가 사그라지면서 비판적으로 돌아서고 있다면서 시진핑의 통치철학에 대해 답보다는 의문이 더 생겨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정치평론가인 장리판(章立凡)은 “시진핑은 정치적 의제나 이념 설정보다는 권력을 공고화하는데 모든 노력을 기울이는 것 같다”라고 비판했다.

미국 브루킹스 연구소 존 손튼 중국센터의 리청(李成) 연구주임은 “처음 쇄도했던 낙관주의가 시간이 지날수록 가늘어지고 있다”라면서 “많은 중국 관측통들은 정치개혁에서 실질적인 발전이 없다는 점에서 낙담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진핑은 총서기 취임 이후 전임자들과는 차별화된 스타일을 보여주면서 많은 기대를 낳았다. 관리들의 호화로운 소비에 제동을 걸었고 사법 개혁을 시사하기도 했다. 권력의 중심에 있던 관료들을 처벌하는 등 반부패 개혁을 추진함으로써 자유주의자들의 기대를 높였다.

그러나 동시에 마오쩌둥(毛澤東) 시대의 구호와 정책을 되살리며 ‘좌향좌’ 경향도 보이고 있다. 정보의 흐름을 통제하고 체제 비판자들을 체포했으며 마오쩌둥식 ‘대중 노선’을 채택해 이념 교육을 하는 등 최근의 행보는 많은 자유파 지식인들에게 실망을 안기고 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시진핑의 불확실한 행보에 대해 아직 판단을 내리기는 이르다는 주장도 내놓고 있다.

푸샤오위(蒲曉宇) 미국 네바다대 교수는 시진핑이 공산체제 강화를 위해 일부 전통적인 마오쩌둥 방식의 운동에 의존하고 있지만 동시에 개혁을 계속하고 주요 문제들을 바로잡길 원하고 있다면서 “현재 좌향좌 추세가 시진핑의 전략적인 후퇴인지 실제 그의 장기 비전을 반영하는 것인지는 불확실한 상황”이라고 판단을 유보했다.

스티브 창 노팅엄대 중국정책연구소 소장은 시진핑이 일단 당내에서 자신의 지위를 공고히 하고자 일부 마오쩌둥식 방법을 쓰고 있다면서 “시진핑이 천천히 발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주즈췬(朱志群)미국 버크넬대 동아시아정치학 교수는 과거와 같은 독재자 타입의 리더십은 이제 중국에서 끝났으며 집단 지도체제에서 총의를 모으는 방식으로 정책을 결정해야 하는 만큼 많은 사람이 생각하는 것만큼 시진핑의 개인적인 영향력이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