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패 1번지’ 오명 후춘화 中 후계경쟁에서 밀리나

‘부패 1번지’ 오명 후춘화 中 후계경쟁에서 밀리나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6-03-24 23:36
업데이트 2016-03-25 02: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광둥성 관료 비리연루 잇따라… 20년 측근 류커웨이도 좌천

잘나가는 쑨정차이와 대조

지난 23일 밤 중국 중앙기율위원회 순찰조가 광둥성 주하이시 당서기 리자의 집으로 들이닥쳤다. 전날 밤에는 광둥성 선전시 전 부시장 천잉춘이 아파트에서 투신자살을 했다. 두 사람 모두 부패에 연루돼 기율위의 표적이 돼 왔다. 리 서기 낙마로 광둥성에선 최근 성부급(省部級·장차관급) 고위 관료 4명이 잇따라 옷을 벗게 됐다. 하급까지 합치면 지난 2년 동안 광둥성 관료 178명이 낙마했다.

개혁·개방의 전진기지였던 광둥성이 ‘부패 1번지’라는 오명을 얻으면서 가장 초조해진 사람은 후춘화(胡春華·53) 광둥성 서기이다. 후 서기는 시진핑(習近平) 주석이 총서기가 된 지난 2012년 제18차 당대회에서 쑨정차이(孫政才·53) 충칭시 서기와 함께 40대에선 유일하게 25명의 당 중앙 정치국 위원으로 발탁돼 차세대 선두주자로 꼽혔다. 시 주석의 2기 체제가 꾸려지는 내년 당대회에서 후와 쑨이 나란히 상무위원으로 올라가 2022년에 둘 중 한 명은 총서기 겸 국가주석이 되고 나머지 한 명은 총리가 될 것이라는 게 그동안의 정설이었다. 특히 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이라는 최대 파벌을 등에 업은 후 서기가 한발 앞선 것으로 평가됐다.

하지만, 잇단 악재로 후 서기의 입지는 크게 위축됐다. 최근 20년 측근인 류커웨이 광둥성 부비서장이 공석이었던 비서장 자리를 차지하지 못하고 닝샤회족자치구로 좌천된 것은 후 서기의 현 상황을 잘 말해주고 있다. 당위원회 비서장은 대부분 당 서기의 측근이 맡는데, 이번에는 중앙에서 내리꽂은 쩌우밍 민정부 부부장이 선임됐다.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던 광둥성 경제가 휘청거리면서 후 서기는 내놓을 만한 업적도 별로 없다. 지난해 광둥성의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7조 2812억 위안(약 1315조원)으로 29년째 전국 1위를 수성했으나, 장쑤성이 7조 600억 위안으로 턱밑까지 쫓아 왔다. 올해에는 장쑤성이 추월할 전망이다.

반면, 경쟁자인 쑨은 순풍을 타고 있다. 서부 개발의 중심 도시인 충칭은 지난해 GDP 성장률이 11%로 전국 1위였다. 시 주석은 올해 첫 지역방문으로 충칭을 찾았다. 특히 지난 16일 전국인민대표대회 폐막식에서 시 주석은 유일하게 쑨 서기와 악수를 했다.

최근에는 시 주석의 핵심 측근인 저장·푸젠성 인맥이 약진하면서 ‘포스트 시진핑’ 경쟁 구도는 훨씬 복잡해졌다. 베이징의 한 외교 소식통은 “4년 전 후춘화와 쑨정차이가 발탁된 것은 후진타오 전 주석과 시 주석 세력 간 타협의 산물이었다”면서 “강력한 통치 스타일을 구사하는 시 주석이 후와 쑨 중 한 명을 주저앉히고 천민얼 구이저우성 서기와 같은 50대 측근 중앙위원을 내년 당 대회에서 바로 상무위원으로 끌어올릴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시 주석과 리커창(李克强) 총리도 2007년 당 대회에서 중앙위원에서 정치국 위원을 거치지 않고 바로 상무위원에 진입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6-03-25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