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특파원 블로그] 금권보단 당권… 시진핑의 ‘호칭’ 군기잡기

[World 특파원 블로그] 금권보단 당권… 시진핑의 ‘호칭’ 군기잡기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6-04-17 23:40
업데이트 2016-04-18 01: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기’(書記)는 공산주의 국가에서 제1 권력을 상징합니다. 시진핑(習近平)도 중국 국가주석이기 이전에 공산당의 서기입니다. 성의 1인자가 성장이 아니라 성 서기인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그런데 최근 중국의 하급 기관과 기업의 서기들 사이에선 당 직함인 서기보다 행정 직함인 ‘국장’이나, 경영 직함인 ‘총경리’(總經理·사장)를 선호하는 현상이 생겼습니다. 당권보다는 행정권과 금권을 앞세우고 싶어 하는 겁니다.

이런 흐름에 당 중앙 기율검사위원회가 지난 2일 제동을 걸고 나섰습니다. 기율위는 공고문을 통해 “시장경제의 발전으로 당무와 행정 직무를 겸하는 자들이 초심을 잃고 자신을 ‘관리자’ 또는 ‘경영자’로 착각하고 있다”고 호되게 비판했습니다. 기율위는 “서기가 무엇인가”라고 되물었습니다. 가장 낮은 직급의 사무원을 뜻하는 서기를 왜 당 조직의 책임자 호칭으로 채택했는지 되돌아보라는 것이죠. “중국 공산당이 ‘관’(官)이나 ‘장’(長)이 아니라 마르크스·엥겔스 시절부터 사용해 온 서기 직함을 쓴 것은 인민 위에 군림하지 않고 봉사하기 위함”이라는 게 기율위의 설명입니다.

‘부패 호랑이’를 때려 잡던 기율위가 왜 갑자기 ‘호칭 군기잡기’에 나섰을까요? 아무래도 공산당 근본주의에 충실하려는 ‘시진핑 총서기’의 의중이 실린 것 같습니다. 시 주석은 지난 2월 종엄치당(從嚴治黨·엄격한 당 관리)의 핵심 수단으로 ‘양학일주’(?學一做)를 제시했습니다. 당원은 당의 규칙과 지도자의 발언을 학습해 정신을 무장하고, 공산주의자임을 행동으로 보이라는 겁니다.

시 주석의 지시가 전파되자 요즘 중국에선 때아닌 ‘공산당 반상회’가 열립니다. 저장성은 촌 단위의 당원대회를 열어 당장과 당규칙을 단체로 학습했고, 허난성은 풀뿌리 행정 단위별로 ‘당원 활동일’을 정해 집단 토론을 합니다. 산시성은 당원 충성도를 가늠하는 잣대는 ‘당비 납부’라고 보고 미납 당비를 걷기 시작했습니다. 시장은 미국보다 더 자본친화적이 되고 있는데, 통치 방식은 혁명 초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느낌입니다. 그러고 보니 다음달 16일이 문화대혁명 개시 50주년이군요.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6-04-18 1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