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식당 종업원 잇단 탈출 소식에 북중접경 ‘불안’

북한식당 종업원 잇단 탈출 소식에 북중접경 ‘불안’

입력 2016-05-24 13:55
업데이트 2016-05-24 13: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달 북한식당 종업원들의 집단 탈출사건에 이어 또다시 식당 종업원 탈출 소식이 전해지자 북중 접경지역에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지난달 중국 내 북한식당에서 근무하던 북한 종업원 13명의 집단귀순으로 인해 우리 국민에 대한 북한의 테러·납치 가능성이 우려되는데다 비슷한 사건이 발생해 위해 가능성이 한층 커졌다는 인식이 퍼졌기 때문이다.

북한측은 집단귀순 이후 자신들의 매체를 통해 수차례 이들을 송환하지 않으면 보복조치를 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외교부, 주 선양(瀋陽) 한국총영사관 등 우리 정부는 백두산을 비롯해 북중 접경지역을 방문·체류하는 우리 국민에 대한 납치나 테러 등 위해 가능성이 제기됐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이 때문에 최근 접경지역 교민사회에서 우리 국민들이 모이는 자리마다 북한 위협과 관련한 이야기가 큰 관심사로 오르내리는 상황이다.

북한과 가까운 랴오닝(遼寧)성 선양의 한 교민은 “북한 당국이 이번 집단 탈출사건에 대한 책임에서 벗어나기 위해 중국에서 활동하는 대북 활동가들에게 위해를 가하려 한다는 소문이 돌아 불안하다”고 말했다.

또다른 교민은 “탈북자를 돕는 선교사, 인권운동가 등이 북한의 표적 대상에 올랐다는 이야기가 교민사회에서 나돌고 있다”며 “나쁜 일이 벌어지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고 흉흉한 분위기를 전했다.

이로 인해 일각에서는 접경지역 활동가들을 철수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북중 접경에서 10여 년간 활동해온 한 선교단체 관계자는 지난주 본부로부터 철수 필요성에 관한 질의를 받고 고민에 빠졌다.

그는 “최근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 탈북자 지원활동을 펴온 조선족목사님이 피살된 사실이 있어 마음이 편치 않다”면서도 “애써 준비해온 사업이 자리잡고 있어 결정내리기 쉽지 않다”고 털어놨다.

한편 북한과 인접한 중국 동북3성에 대한 여행경보는 현재 가장 낮은 1단계인 여행유의(남색경보)로 유지되고 있다. 여행경보는 유의→여행자제(황색)→철수권고(적색)→여행금지(흑색) 순으로 높아진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