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남중국해 방공식별구역 선포 준비

中, 남중국해 방공식별구역 선포 준비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16-06-01 22:48
업데이트 2016-06-02 01: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유권 분쟁’ 베트남·印尼·필리핀 반발

EEZ 겹치는 美지지 주변국도 선포할 듯
‘친중’ 말레이시아도 강경노선 선회 조짐

중국이 이웃 국가와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남중국해에 방공식별구역(ADIZ)을 선포할 것으로 전해지면서 분쟁 당사국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 강화 조치에 대해 반발해 온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다른 분쟁 당사국과 달리 다소 온건한 대응을 했던 말레이시아도 대중 강경 노선으로 선회할 조짐을 보여 역내 긴장은 더욱 고조될 전망이다.

이미지 확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일 중국 인민해방군 관계자와 군사 전문 매체를 인용해 중국이 남중국해에 방공식별구역 선포를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남중국해에 선포될 중국의 방공식별구역은 스프래틀리 제도(중국명 난사군도) 내 수비 암초(중국명 주비자오) 등 7개 인공섬과 파라셀 군도(중국명 시사군도) 우디 섬(중국명 융싱다오)의 연안으로부터 200해리, 즉 배타적경제수역(EEZ)에 근거할 것이라고 캐나다 군사 전문 매체 칸와디펜스리뷰가 전했다.

칸와디펜스리뷰의 안드레이 창 편집장은 “이 구역은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의 EEZ와 겹친다”며 “중국이 방공식별구역을 선포하면 이들 국가도 미국의 지지 아래 방공식별구역을 선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선포 시기는 미국이 남중국해에 군대를 주둔하고 중국 외 분쟁 당사국과 협력을 강화하는 데 대한 대응 차원에서 결정될 것이라고 중국군 관계자가 SCMP에 밝혔다.

최근 중국이 암초에 인공섬을 조성하고 무기를 배치하는 등 남중국해 군사기지화에 속도를 내자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분쟁 당사국도 군사력을 증강시키는 모습이다. 지난달 23일 미국의 살상무기 금수 조치가 해제된 베트남은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미국에 고성능 해안 레이더와 대함 초계기, 전투기 등의 구매를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네시아는 지난달 16일 중국의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 남중국해의 나투나 제도에 553조 루피아(약 47조원)를 들여 잠수함 기지를 건설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다른 분쟁 당사국과 달리 친중적 입장을 취했던 말레이시아도 최근 중국의 위협에 강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인구의 4분의1이 화교이며, 수출입에 있어서도 중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중국의 행보에 큰 목소리를 내지 않았다. 앞서 중국은 말레이시아 사라왁주에서 북쪽으로 약 100㎞ 떨어진 제임스 암초를 자국 남중국해 영토의 최남단이라고 주장하며 2013년과 2014년 대규모 군사훈련을 전개했으나 말레이시아는 애써 훈련의 의미를 축소했다.

하지만 말레이시아 당국은 지난 3월 중국 어선 100여척이 제임스 암초 인근 루코니아 암초 해역에 불법 진입하자 경비정, 항공기를 출동시켜 대응했으며 중국대사를 소환해 항의했다. 그로부터 수주 뒤 말레이시아군은 사라왁주 빈툴루 인근에 해군기지를 건설하고 헬리콥터, 드론, 특수부대 등을 배치하는 계획을 세웠다. 전문가들은 이 계획이 중국의 남중국해 활동을 염두에 두고 수립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익명을 요청한 말레이시아의 한 장관은 로이터에 “말레이시아는 그동안 중국군이 자국 영해를 침범해도 아무 행동도 취하지 않았지만 이제는 다를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서울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용어 클릭]

■방공식별구역(ADIZ) 자국 영공에 접근하는 타국 군용기를 조기에 식별하기 위해 공해 상공에 임의로 설정한 공중 구역이다. 자국이 일방적으로 선포한 구역이라 국제법상 인정된 구역은 아니어서 외국 군용기의 비행을 금지하지는 못한다.
2016-06-02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