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투리의 천국 中 “사투리를 살려라”

사투리의 천국 中 “사투리를 살려라”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6-08-25 22:42
업데이트 2016-08-25 23: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초등학교 수업 의무화… 온라인선 방언 쓰기 운동… 기업은 능통자 우선 선발

중국 TV 프로그램에는 표준어(普通話·푸퉁화) 자막이 나온다. 베이징 등 북방 지역 중심으로 구성된 표준어를 알아듣지 못하는 시청자가 많기 때문이다. 사투리(方言)가 심한 지방에서 표준어를 쓰는 사람이 교통사고를 당하면 교통경찰과 함께 통역까지 찾는 경우도 많다.

●표준어 의무 사용 이후 방언 소멸 위기

이처럼 한 나라에서 전혀 말이 통하지 않을 정도로 사투리가 심한 중국이 요즘 ‘방언 살리기’에 나서고 있다. 신중국 건설 이후 표준어 의무 사용 정책을 강력하게 시행한 결과 방언이 점차 소멸해 가고 있기 때문이다. 인민일보는 25일 “당신 자녀는 고향 말을 할 줄 아나요?”라는 제목으로 위기에 몰린 방언 실태를 보도했다.

광저우에 사는 한 할머니는 유치원에 다니는 손자가 “할머니 때문에 친구들에게 놀림을 받는다”고 말해 마음의 상처를 입었다. 표준어를 잘 못하는 할머니는 손자를 돌보며 줄곧 광둥어를 썼다. 손자가 유치원에 가서 광둥어를 쓰자 친구들이 “촌놈”이라고 놀린 것이다. 고심 끝에 할머니는 표준어를 배우기 시작했다.

푸젠성 출신으로 지역 방언인 민어(?語)를 쓰는 아내와 장시성 방언인 간어(?語)를 쓰는 남편은 아기 출산 이후 방언을 절대 쓰지 않기로 했다. 베이징에 사는 이 부부는 “아이가 언어 혼란을 겪을지 모르고, 혹시 놀림을 받지 않을까 걱정돼 각자 고향 말을 쓰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난징 어린이 절반 “난징 방언 몰라요”

인민일보가 난징시 4~13세 어린이를 표본 추출해 조사한 결과 50%는 난징 방언을 말하지 못하고 알아듣기만 했다. 듣기와 말하기가 모두 가능한 어린이는 30%에 불과했다. 푸젠성의 4대 도시 중학생을 조사한 결과 푸저우시 중학생 가운데 23%만이 푸젠 민어를 구사할 수 있었고, 룽옌시 중학생은 17%만 민어가 가능했다. 허난성 사회과학원 언어위원회 왕신위 주임은 “방언은 지역 문화유산의 총체”라면서 “방언의 소멸은 전통문화와 민속의 소멸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전통 없어질라… 1500곳에 연구소

이에 따라 중국 교육부는 지난해부터 전국 1500개 지역에 ‘방언 언어자원 공정’ 거점 연구소를 세우고 방언 살리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광저우시는 초등학교에서 일주일에 한 번씩 광둥어 수업을 의무화했다. ‘위에어(?語·광둥어) 살리기 작전’이란 구호 아래 인터넷에서도 광둥어 쓰기 운동이 벌어지는가 하면 일부 기업에선 광둥어 능통자 우선 선발 조건도 내걸고 있다.

그러나 홍콩, 마카오에서까지 쓰이는 광둥어처럼 튼튼한 경제 기반을 갖춘 방언이 아닌 다른 지역 방언들은 위축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전국방언학회 이사인 따이차오밍 교수는 “미래 세대가 쓰지 않는 언어는 도태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6-08-26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