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지름 60cm ‘인공 달’까지 만든 중국…“달 탐사 핵심 역할될 것”

지름 60cm ‘인공 달’까지 만든 중국…“달 탐사 핵심 역할될 것”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2-01-12 13:27
업데이트 2022-01-12 14: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인류 최초로 지구에서 보이지 않는 달의 뒷면에 착륙한 중국의 달 탐사선 ‘창어(嫦娥) 4호’가 3일 보내온 달의 뒷면 사진. 2019.01.03 중국 국가항천국(CNSA) 제공
인류 최초로 지구에서 보이지 않는 달의 뒷면에 착륙한 중국의 달 탐사선 ‘창어(嫦娥) 4호’가 3일 보내온 달의 뒷면 사진. 2019.01.03 중국 국가항천국(CNSA) 제공
중국 과학자들이 달과 같은 환경을 갖춘 연구시설인 ‘인공 달’을 만들었다.

1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광업기술대학 연구진이 장쑤성 쉬저우에 만든 이 시설은 지구 6분의 1 수준의 중력과 대기가 없으면 기온이 극단적으로 변화하는 달의 환경을 재현해냈다.

시설의 핵심은 지름 60㎝인 ‘소형 달’을 품은 진공실이다.

달에 있는 것처럼 가벼운 암석과 먼지로 구성된 ‘인공 달’은 자기장으로 지구의 6분의 1의 중력을 유지한다. 이곳에선 개구리와 밤 등이 중력에 반해 떠오른다. 

인공 달은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러시아 과학자 안드레 가임이 자석을 활용해 살아있는 개구리를 부양하게 한 실험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인공 달 프로젝트를 지휘한 과학자 리루이린은 “이런 종류의 시설은 세계 최초”라면서 “달 환경 실험을 완전히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인공 달은 달 기지 건설을 비롯해 향후 중국의 달 탐사 임무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과학자들이 인공 달에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해 실제 달 탐사에서 값비싼 시행착오를 피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리 과학자는 “암석과 먼지가 지구와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움직이는 달의 극단적인 환경을 재현한 시설에서 3D프린팅 같은 기술을 활용해 달 표면에 건물을 지을 수 있는지 등을 실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인공 달에서 진행되는 일부 실험은 달 표면 아래 있는 물을 어디서 찾을 수 있는지 등 핵심 단서들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미지 확대
달 뒷면에 착륙해 있는 중국의 달 탐사선 ‘창어 4호’. 탐사선에서 분리된 탐사로봇 ‘위투 2호’가 촬영했다. 2019.1.15  중국 우주항천국
달 뒷면에 착륙해 있는 중국의 달 탐사선 ‘창어 4호’. 탐사선에서 분리된 탐사로봇 ‘위투 2호’가 촬영했다. 2019.1.15
중국 우주항천국
미중 우주 탐사 경쟁 속 중국은 세계 최초로 달 전면과 뒷면에 모두 착륙하는 등 달 탐사에서 속도를 내고 있다.

중국 달 무인 탐사선 ‘창어 3호’는 2013년 달 앞면에 착륙했고, 이어 창어 4호는 2019년 1월 지구에서 보이지 않는 달의 뒷면에 인류 최초로 착륙했다.

우옌화 중국국가항천국(CNSA) 부국장은 지난달 27일 중국중앙(CC)TV와 인터뷰에서 예정보다 8년 빠른 2027년쯤 달 연구 기지를 세울 것이라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김민지 기자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