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도박에 ‘헝 의회’ 자초…메이, 책임론에도 사퇴 거부

총선 도박에 ‘헝 의회’ 자초…메이, 책임론에도 사퇴 거부

심현희 기자
입력 2017-06-09 23:04
업데이트 2017-06-09 23: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英 보수당 과반 의석 확보 실패

8일(현지시간) 치러진 영국 조기 총선에서 집권 보수당이 과반 의석 확보에 실패하면서 영국의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협상이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보수당을 이끄는 테리사 메이 총리가 천명해 온 ‘하드 브렉시트’ 기조는 안갯속에 싸였다. 노동당을 비롯한 주요 야당이 일제히 하드 브렉시트에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심각한 표정의 메이 총리
심각한 표정의 메이 총리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가 조기 총선 투표가 끝난 뒤인 9일(현지시간) 심각한 표정으로 런던 보수당 당사를 떠나고 있다. 선거 결과 보수당이 과반 의석을 확보하지 못하면서 영국은 오는 19일부터 시작될 ‘브렉시트’ 협상에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런던 AFP 연합뉴스
하드 브렉시트는 영국이 EU를 탈퇴하면서 EU 단일시장 접근권을 포기하는 대가로 독자적 이민·국경 통제권,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권 등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한다. 메이 총리는 그동안 영국이 EU 단일시장과 관세동맹에서 완전히 빠지면서 EU 분담금의 선제 해결까지 요구하는 등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반면 노동당과 스코틀랜드국민당(SNP), 자유민주당은 단일시장 접근권과 관세 혜택 포기는 영국의 대외무역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이유로 ‘소프트 브렉시트’를 주장해 왔다. 자유민주당은 아예 브렉시트 국민투표 재실시를 바라고 있다.
이미지 확대
그러나 이번 선거 결과 보수당이 과반 의석(326석)을 확보하지 못하면서 오는 19일부터 시작될 브렉시트 협상에 잡음이 생길 수밖에 없게 됐다. 보수당이 국내 브렉시트 반대론자들과 협력해야만 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이는 가뜩이나 시간이 촉박한 EU와의 브렉시트 협상을 더욱 어렵게 만들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어느 당도 과반 의석을 차지하지 못하는 ‘헝 의회’(Hung Parliament)가 출연하게 되면서 메이 총리는 다른 군소정당과 연합해 정부를 구성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보수당(318석)이 연정의 뜻을 밝힌 10석의 북아일랜드 민주통합통일당(DUP)과 합치면 절반(325석)보다 3석이 많아 과반을 확보하게 된다.

이번 선거는 사실상 ‘브렉시트 선거’로 불렸다. 메이 총리가 EU와의 브렉시트 협상을 앞두고 과반 의석을 대폭 늘려 안정적이고 강력한 리더십과 협상에서 유리한 입장을 확보하기 위해 조기 총선을 요청했기 때문이다. 당시 여론조사 지지율은 보수당이 노동당을 20% 포인트 이상의 격차로 압도했었다.

그러나 보수당이 노인요양 지원자를 축소하는 ‘사회적 돌봄’ 개혁 공약을 발표해 노년층이 돌아서고, 잇따른 테러로 안보 능력이 도마에 오르는 동안 제러미 코빈 노동당 대표는 보수당 집권 7년에 걸친 긴축과 ‘불평등’을 화두로 삼아 주목을 받았다. 노동당의 정책 선거 유세가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면서 정작 브렉시트 쟁점은 선거 무대에서 거의 사라졌다. 여기에 젊은층 유권자들의 높은 투표율과 부유한 전문직 유권자들이 노동당에 힘을 실어주면서 노동당은 기존 의석에서 29석이나 더 얻으며 약진했다.

특히 이번 선거를 단독으로 결정한 메이 총리는 책임론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메이 총리가 계속 직무를 수행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나 메이 총리는 “보수당과 DUP가 브렉시트의 약속을 실현시킬 것”이라며 “나라에 확실성을 주기 위해 총리직을 유지할 것”이라고 물러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BBC는 메이 총리의 조기 총선 승부수는 “영국 현대 역사에서 가장 큰 정치적 실수로 기록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17-06-10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