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칠리아 ‘아틀라스’ 제우스 신전 앞으로

시칠리아 ‘아틀라스’ 제우스 신전 앞으로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20-07-16 01:56
업데이트 2020-07-16 02: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8m 조각상 ‘신전의 계곡’에 방치
“바로 세우는 게 복원 작업의 정점”

이미지 확대
영국 일간 가디언 캡처
영국 일간 가디언 캡처
이탈리아 시칠리아섬 ‘신전의 계곡’에 수세기 동안 방치돼 누워 있던 거대한 아틀라스 조각상이 조만간 제우스 신전 앞 제자리를 찾을 것으로 보인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14일(현지시간) 시칠리아 고고학 공원 측이 “섬에서 가장 유명한 조각상 중 하나인 이 작품을 조만간 인근 제우스 신전 정면에 바로 세울 것”이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신전의 계곡은 시칠리아섬 서쪽 끝에 있는 아그리젠토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은 고대 그리스 시대 인구 밀집지로 황금기를 구가하는 동안 100여년에 걸쳐 신전들이 곳곳에 세워졌는데, 제우스·헤라·헤라클레스·콩코드 신전 등 7개가 비교적 잘 보전돼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 그리스 철학자 엠페도클레스는 “(그리스인들이) 내일 죽을 것처럼 파티를 하고, 영원히 살 것처럼 (신전을) 건설했다”고 기록한 바 있다.

기원전 5세기에 만들어진 약 8m 크기의 아틀라스상은 도리아식 건물인 제우스 신전 주위를 장식했던 40여개 조각 중 하나이지만, 그동안 신전 근처 다른 고대 유적들과 함께 방치돼 있었다. 공원 측은 “아틀라스상을 다시 세우는 것은 신전 복원 작업의 정점”이라고 밝혔다.

아틀라스는 그리스 신화의 거인족(티탄) 인물로, 제우스가 이끄는 올림포스 신들을 상대로 싸우다 패배한 뒤 대지 서쪽 끝에 서서 하늘을 떠받치는 형벌을 받게 된 주인공이다. 아그리젠토는 기원전 406년 카르타고인에 의해 파괴된 뒤 기원전 210년 로마인에게 장악됐다. 이후 로마인들이 주변 건물·항구 건축에 사용하기 위해 신전 기념물들을 떼 가는 과정에서 아틀라스 조각상도 제 위치를 벗어나 훼손된 것으로 보인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20-07-16 1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