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기반 무너진 루카셴코 “개헌 통해 대선 재실시 가능”

지지기반 무너진 루카셴코 “개헌 통해 대선 재실시 가능”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20-08-18 20:44
업데이트 2020-08-19 02: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벨라루스 대통령, 파업 근로자들과 면담

전통적 지지층 “퇴진” 요구에 고립무원
“권한 분배·국민투표 용의” 한발 물러서

대선 불복 여론에 부딪힌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권력 분점과 대선 재실시 가능성을 내비쳤다. 지난 9일 대선에서 80%가 넘는 지지를 받으며 6선에 성공한 결과가 무색하게 반정부 시위가 확산되고, 지지 기반인 노동자 계층까지 등을 돌리며 ‘유럽의 마지막 독재자’는 더욱 고립무원의 상태에 빠지는 모습이다.

루카셴코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퇴진을 요구하며 파업에 들어간 민스크바퀴견인차량(MZKT) 공장을 방문해 근로자들과 면담했다. 공장 근로자들은 그가 26년 동안 장기 집권할 수 있었던 전통적 지지층이었지만 이날 분위기는 이전과는 180도 달랐다.

BBC는 루카셴코 대통령이 마이크 앞에 서서 발언을 하려고 하자 근로자들이 “퇴진하라, 떠나라”고 외쳤다고 보도했다. 공개된 당시 영상을 보면 퇴진을 외치는 근로자들의 목소리를 들은 순간 루카셴코 대통령의 얼굴이 굳어지기도 했다.

그는 이날 일정에서 시위대의 요구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는 전제와 함께 “헌법에 따라 내 권한을 나눌 용의가 있고, 이를 위해 헌법을 개정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헌법 개정안이 나올 경우 이를 국민투표에 부친 뒤 헌법적 권한을 넘겨주겠다며 “국민투표 후 새 헌법에 따라 국민이 원한다면 총선과 대선, 지방선거를 치를 수 있을 것”이라고도 했다. 개헌을 전제로 물러날 뜻이 없음을 밝힌 것이지만, 반정부 시위에 대대적인 탄압작전을 펼치며 완강한 입장을 보였던 행보들에 비춰 보면 한발 물러선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반정부 시위가 연일 계속되는 가운데 근로자들까지 동조 파업에 돌입하면서 루카셴코 대통령의 위기감은 더욱 커진 모습이다. 민스크자동차공장과 벨라루스철강공장, 전 세계 칼륨 비료의 20%를 생산하는 ‘벨라루시칼리’ 등 벨라루스 경제의 중추라고 할 수 있는 시설들이 일제히 파업에 돌입한 상황이다. 이들 공장 노동자들은 벨라루스가 옛 소련에서 독립한 후 시작된 신경제 체제를 뒷받침해 왔던 산업역군들이었다. 더불어 국영방송사 직원 2000명 가운데 300명도 검열에 항의하며 파업에 동참한 것으로 전해졌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루카셴코 대통령이 MZKT 공장을 찾은 것은 전날 최대 규모 시위가 일어난 뒤 노동자 계층이 여전히 자신을 지지하고 있음을 보여 주기 위해서였다”며 “하지만 노동자들에게 야유를 받고, 국정홍보를 책임지는 국영방송사 직원들까지 파업에 돌입하면서 더욱 큰 타격을 입게 됐다”고 진단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20-08-19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