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병선의 메멘토 모리] 평화 앞장선 바이올린 거장 이브리 기틀리스

[임병선의 메멘토 모리] 평화 앞장선 바이올린 거장 이브리 기틀리스

임병선 기자
입력 2020-12-25 14:27
업데이트 2020-12-25 14: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4일(이하 현지시간) 세상을 떠난 이스라엘 바이올리스트 이브리 기틀리스가 지난 2011년 8월 9일 프랑스 남부 마르세유의 우나 스텔라 바로크 뮤지컬앙상블과 협연 리허설 도중 포즈를 취하고 있다. AFP 자료사진 연합뉴스
24일(이하 현지시간) 세상을 떠난 이스라엘 바이올리스트 이브리 기틀리스가 지난 2011년 8월 9일 프랑스 남부 마르세유의 우나 스텔라 바로크 뮤지컬앙상블과 협연 리허설 도중 포즈를 취하고 있다.
AFP 자료사진 연합뉴스
구순을 넘긴 나이에도 바이올린 활을 놓지 않았던 이스라엘의 바이올리니스트 이브리 기틀리스가 성탄 전야에 98세를 일기로 프랑스 파리에서 세상을 등졌다고 가족들이 전했다.

카리스마 넘치는 모습에 실험에 대한 열정도 강해 고인은 현대 클래식 거인 중 한 명으로 손꼽힌다고 영국 BBC는 다음날 전했다. 그는 세계 최고의 오케스트라들과 협연했지만 집에서 록스타, 재즈 거장들과도 곧잘 어울렸던 소탈함으로도 유명했다. 1955년 이스라엘 출신 음악인으로는 옛 소련에서 최초로 연주한 기록도 갖고 있다. 또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평화 협정을 적극 옹호한 것으로도 이름 높다.

1922년 지금의 우크라이나 땅을 떠나온 유대인 부모 슬하에 하이파에서 태어났다. 네 살 때부터 바이올린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AFP 통신 인터뷰를 통해 “어떻게 바이올린을 시작하게 됐느냐고? 난 그냥 바이올린을 원했어. 내가 너무 작아 연주할 수 없었지만 그저 바이올린을 연주하고 싶었어. 결심해서 고른 거야. 그렇게 여섯 살에 시작했어”라고 털어놓았다. 사해로 나들이 갔다가 당대 유명 바이올리니스트이자 팔레스타인 심포니의 설립자인 브로니슬라프 후버만과 만나 1933년 그의 주선으로 프랑스로 떠났다.

파리 음악원에 입학한 후 줄곧 일등을 놓치지 않았다. 조르주 에네스쿠와 자크 티보, 칼 플레시 같은 이들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한창 음악가의 꿈을 키워갈 무렵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나치의 군대가 발호하자 1940년 6월 런던으로 떠나 영국 공군에 입대했다. 군대 예술단에서 연주를 이어갔고 종전 뒤에는 런던 로열 앨버트 홀에서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면서 데뷔했다.

1950년대 초 미국으로 건너가 유진 오먼디가 지휘하는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 차이코프스키 바이올린 협주곡을 협연했고, 뉴욕에서는 조지 셸과 호흡을 맞춰 시벨리우스의 협주곡을 연주해 큰 반향을 일으켰다.

2012년 3월 일본 이와테현에서 바이올린 연주회를 열었는데 리쿠젠타카타 합동 추모원, 동일본 대지진과 쓰나미 희생자들이 안식을 누리는 곳이었다. 이날 그의 연주는 ‘1000명 바이올린 프로젝트’의 첫 무대였다. 지진으로 폐허가 된 곳에 용케 살아남은 나무들로 바이올린을 제작, 기적의 나무로 만든 악기를 1000명의 연주자들이 돌아가며 연주하는 것이었다.

평생 음악이란 외길을 걸어오면서도 이를 통해 사회, 인류와 소통하고 평화의 메시지를 공유하고자 했다. 유엔 친선대사로 임명된 것도 그의 특별함 덕분이었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