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전, 아직 일본서 ‘싸구려’ 이미지”< IHT>

“한국 가전, 아직 일본서 ‘싸구려’ 이미지”< IHT>

입력 2013-08-12 00:00
업데이트 2013-08-12 14: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류 바람 타고 젊은 층에서는 변화 조짐

세계 시장을 휩쓰는 한국 가전이 일본에서는 아직도 ‘싸구려’라는 인식 때문에 맥을 못 추고 있다고 인터내셔널헤럴드트리뷴(IHT)이 12일 보도했다.

다만 한국 가요(K-POP) 등 한류 열풍에 힘입어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국 제품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면서 최근에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IHT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 IDC가 조사한 올해 1분기 일본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애플이 40%로 1위, 샤프가 15%로 2위, 소니가 13%로 3위였고 삼성은 5위안에 들지 못했다.

일본 시장에 삼성 스마트폰을 독점공급하는 NTT도코모는 지난달 중순까지 여름 특판에서 갤럭시S4를 40만대 판매했지만 이는 같은 기간 소니 엑스페리아A 판매량의 절반에 못 미쳤다.

삼성과 LG의 TV 역시 유럽과 미국 등 세계 시장에서 엄청난 매출을 올리고 있지만 일본에서는 판매 부진을 겪고 있다.

삼성은 2007년 일본 TV시장에서 철수했다. LG는 2008년 철수했다가 2년 뒤 재진출했지만 아직 일본 경쟁사들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IHT는 이에 대해 일본인들이 한국산 제품은 질이 낮다고 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일본총합연구소(JRI)의 무코야마 히데히코 이코노미스트는 “일정 연령 이상의 일본인들에게 한국산 제품은 여전히 싸고 질 낮은 이미지로 인식되고 있다”고 보고서에서 밝혔다.

이런 인식은 실증적으로 드러나는 결과와는 차이가 있다고 IHT는 지적했다.

컨슈머리포트, 씨넷 등의 시험 결과 한국산 TV, 휴대전화, 세탁기, 자동차 등이 많은 일본산 제품들보다 더 높은 등급을 받았으며 최근 일본 전문지의 3D TV 평가에서도 LG 제품이 미쓰비시나 샤프 제품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다.

IHT는 젊은 층에서는 한류 확산과 더불어 한국산 제품의 인식도 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가전 판매원 토미자와 코헤이 씨는 IHT에 “소니 같은 일본 브랜드를 선호하는 장년층과 달리 젊은층에서는 LG TV가 더 인기가 있다”며 “다만 젊은 층이 장년층보다 구매력이 떨어져 (판매가 부진하다)”고 설명했다.

LG는 일본에서 있기 있는 걸그룹 카라를 일본 내 스마트폰 광고모델로 기용했다. LG는 지난해 일본에서 TV, 스마트폰, 세탁기, 진공청소기 등에서 6억7천500만 달러(7천500억원) 상당의 매출을 기록해 2010년보다 45% 매출신장을 보였다.

싱가포르대학교 장시진 교수는 “일본 소비자들은 국산을 선호해서 애플을 제외하고는 외국 기업이 일본에서 큰 성과를 내지 못했다”며 “하지만 미래에는 일본 주류사회가 더 많은 한국 기업을 받아들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