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스쿠니 대안 논의를” 日 유력언론 잇단 제기

“야스쿠니 대안 논의를” 日 유력언론 잇단 제기

입력 2013-10-22 00:00
업데이트 2013-10-22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요미우리·아사히 사설서 거론

일본 언론이 한국, 중국과 외교 마찰을 벌이고 있는 야스쿠니 신사 참배와 관련, 신사를 대신할 시설 건립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일본 내 최대 일간지인 보수성향의 요미우리신문은 ‘빗나간 중·한의 대일 비판’이라는 제목의 21일자 사설에서 “전몰자의 위령을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대해서는 일본 국내에도 다양한 의견이 있으며 전쟁 지도자에 대한 비판도 뿌리 깊다”며 “누구든 거리낌없이 전몰자를 추도할 수 있는 국립시설의 건립에 대해 논의를 심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사설은 또 지난 3일 미·일 외교·국방장관 연석회의(2+2)에 참석하기 위해 일본을 찾은 존 케리 미 국무장관과 척 헤이글 국방장관이 비종교적인 국립 추도시설인 지도리가후치 전몰자 묘원을 방문한 것은 “야스쿠니 신사 참배에 대해 신중한 대응을 요구하는 메시지로도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요미우리는 이어 아베 총리가 한국, 중국과의 관계 악화를 피하기 위해 올해 춘·추계 예대제(제사)와 패전일(8·15)에 야스쿠니에 참배하는 대신 공물봉납 등을 했음에도 한·중 양국이 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것은 유감스럽다고 적었다.

앞서 진보성향인 아사히신문이 지난 19일자 사설에서 “외교적인 마찰을 부르는 일이 없도록 새로운 전몰자 추도 방식을 생각할 수는 없겠는가”라며 같은 화두를 던졌다. 이틀 사이에 일본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진보·보수지가 잇달아 야스쿠니의 대안을 거론한 것이다.

도쿄 지요다구에 있는 야스쿠니 신사는 근대 일본이 일으킨 크고 작은 전쟁에서 숨진 사람들의 영령을 떠받드는 시설이다. 일본의 식민지배와 침략으로 고통받은 한국과 중국이 과거 일본 군국주의의 상징으로 여기는 이곳에는 태평양전쟁 A급 전범 14명을 포함해 246만 6000여명이 합사돼 있다.

지난 17∼20일 열린 야스쿠니 추계 예대제 때 아베 총리는 신사제단에 바치는 화분 형태의 제구인 ‘마사카키’를 봉납하는 것으로 참배를 대신했다. 각료 중에는 신도 요시타카 총무상과 후루야 게이지 납치문제 담당상 등 2명이 참배했다.

도쿄 김민희 특파원 haru@seoul.co.kr

2013-10-22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