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AI 반사회적 행위 막게 국제 규범 제정”

日 “AI 반사회적 행위 막게 국제 규범 제정”

이석우 기자
입력 2016-04-12 20:58
업데이트 2016-04-13 00: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달 말 G7 정보통신장관 회의… “2045년 인간 두뇌 넘어설 듯”

일본 정부가 이달 말 선진 7개국(G7) 정보통신장관 회의에서 인간과 인공지능(AI) 연구 개발에 관한 국제규범 제정을 제안하기로 했다.

이 같은 규범 제안은 AI의 유용성과 부작용을 둘러싼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가운데 AI가 인간에게 위해를 가하거나, 사회질서를 해치는 반사회적 행위 등 부작용과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다.

요미우리신문은 12일 다카이치 사나에 총무상이 오는 29~30일 다카마쓰시에서 열리는 G7 정보통신장관 회의에서 ‘AI개발 원칙’을 제시하고 규범 책정을 위한 협력을 호소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일본 정부가 제안할 규범으로는 각국 정부와 민간 기업이 AI를 개발할 때 AI가 사람의 생명이나 신체에 위해를 끼치지 않도록 하고, 통제 불능 상황이 생길 때 긴급 정지시킬 수 있게 하는 등 오류가 생긴 사고 회로를 제어·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 AI가 악의를 품은 사람의 손에 들어가 악의적으로 조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사이버 공격 대응 방안도 포함됐다.

최근 중국과 미국 등 각국 간의 AI 연구개발 경쟁이 치열하게 불붙고 있고, 처리 능력이 급속히 높아지고 있지만 AI의 부작용과 문제점을 막고 인간 및 사회와 공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규범 및 제어장치 등 대책 마련은 소홀한 상황이라고 신문은 지적했다.

AI 전문가들은 2045년쯤이면 AI의 처리 능력이 인간의 두뇌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하면서 파괴적인 행위에 대한 제어 방안 마련의 시급성을 지적하고 있다. 이때쯤 일본에서 AI 활용에 의한 경제효과는 121조엔으로 추산됐다.

도쿄 이석우 특파원 jun88@seoul.co.kr
2016-04-13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