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실 내부 빨갛게 칠했더니 악취가…일본 연구팀 ‘새로운 발견’

화장실 내부 빨갛게 칠했더니 악취가…일본 연구팀 ‘새로운 발견’

김태균 기자
입력 2018-09-30 15:12
업데이트 2018-09-30 16: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화장실 벽을 빨갛거나 파란 색깔로 바꾸자 냄새에 대한 이용자들의 불쾌감이 크게 감소했다는 연구결과가 일본에서 나왔다.

30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효고현 니시노미야시에 있는 오테마에대학의 야마시타 마치코 교수팀은 최근 이런 실험 결과를 발표했다.

야마시타 교수팀은 2009년부터 니시노미야의 시립초등학교 등 21개 학교 200개 화장실의 내부 벽 색깔을 기존 베이지에서 초록, 파랑, 빨강, 오렌지 등 산뜻한 4가지 계통의 19가지 색으로 바꾸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물었다.
이미지 확대
깨끗하게 단장돼 있는 서울 은평구 신진과학기술고교 화장실.(이 사진은 기사의 특정사실과 관계 없음) 서울신문 DB
깨끗하게 단장돼 있는 서울 은평구 신진과학기술고교 화장실.(이 사진은 기사의 특정사실과 관계 없음)
서울신문 DB
약 6800명의 학생들에게 화장실이 주는 첫인상, 냄새, 깨끗함 등 7개 항목에 관해 화장실 벽 색깔을 바꾸기 전과 바꾼 후를 비교해 답하도록 했다.

가장 흥미로운 것은 냄새가 줄었다고 답한 학생들이 크게 늘어난 점. 붉은색 계열에서는 17~25%, 파란색 계열에서는 13~23%, 녹색 계열에서는 16~33%의 학생들이 냄새가 줄었다고 답했다. 오렌지색 계열에서는 냄새가 감소했다는 응답률이 11~13%로, 다른 색 계통에 비해 낮았다.

4가지 계열 모두 가장 짙은 색으로 칠해진 경우에 냄새 감소 효과가 가장 컸다. 야마시타 교수는 “시각적 자극이 커지면서 상대적으로 냄새에 대한 뇌의 인식이 약해진 결과”라고 분석했다.

화장실이 주는 첫인상의 경우 4가지 계열 모두 짙은 색을 칠한 경우 50% 이상이 ‘좋은 느낌’이라고 답했다. 19가지 색 모두 응답 학생의 30~76%가 기존 베이지색보다 청결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미우리는 색깔과 냄새의 상관관계에 대한 흥미로운 증명에 대해 화장실 환경 개선을 추진하는 단체나 페인트 제조업체 등에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