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1만엔권 도안에 침탈 주역 시부사와, 아베 역사관 반영된 듯

日 1만엔권 도안에 침탈 주역 시부사와, 아베 역사관 반영된 듯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4-09 15:28
업데이트 2019-04-09 15: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본 정부가 구한말 경제 침탈의 선봉에 섰던 상징적 인물을 새 지폐에 그려 넣으려 해 논란이 예상된다. 대한제국 시절 일제의 이권 침탈을 위해 한반도에서 지폐 발행을 주도하고 스스로 지폐 속 초상으로 등장한 인물이 재등장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아소 다로(麻生太郞) 부총리 겸 재무상은 9일 기자회견을 통해 지폐 도안을 전면 쇄신한다며 가장 대중적인 지폐인 1만엔(약 10만원)권에 시부사와 에이이치(澁澤榮一·1840~1931년)의 초상을 넣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부사와는 메이지(明治)와 다이쇼(大正) 시대를 풍미했던 사업가로 제1 국립은행과 도쿄가스 등 500여개 회사 경영에 관여했다.

한반도에서는 구한말 화폐를 발행하고 철도를 부설하는 한편 경성전기(한국전력의 전신) 사장을 맡으며 한반도에 대한 경제 침탈에 전면적으로 나선 인물이다. 특히 1902~04년 일본 제일은행의 지폐 1원, 5원, 10원권 등 한반도의 첫 근대적 지폐에 등장해 한국에 치욕을 안겨줬다. 대한제국은 1901년 외국 돈의 유통 금지와 금본위 제도의 채택을 내용으로 하는 자주적 화폐 조례를 발표했다. 일본 제일은행은 화폐 발행을 요구한 뒤 무력시위를 통해 대한제국이 이를 받아들이도록 했고 은행의 소유자 초상을 지폐에 그려 넣었다.
따라서 조부가 식민 침탈의 원흉 가운데 일부였으며 식민 지배 사실조차 부정하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의 역사 수정주의가 반영됐다는 해석이 나온다. 식민지배의 피해국인 한국에 대한 배려가 결여된 것이라는 비판이 한국뿐 아니라 일본 내에서도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아소 부총리는 이날 화폐 쇄신 계획을 발표하며 “국민 각계 각층에 폭넓게 인정되고 있는 분들을 (새 화폐 속 인물로) 선택했다”고 말했다. 새 지폐에 들어갈 인물은 재무성이 일본은행, 국립인쇄국과 협의한 뒤 최종 결정하는데 새 지폐는 5년 뒤 발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재무성은 5000엔(약 5만원), 1만엔(약 10만원)권 새 지폐에도 제국주의 시절에 활약한 인물들의 초상을 그려넣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5000엔권에는 메이지 시기 여성 교육 개척자인 쓰다 우메코(津田梅子·1864~1929년), 1000엔권에는 일본 의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기타사토 시바사부로(北里 柴三郞·1853~1931년)의 얼굴을 검토하고 있다. 셋 모두 메이지 시대 인물이라 새 연호 레이와(令和)를 주창한 시기에 걸맞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