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이집트 공안기관 부활…대국민 감시·탄압 등 재연 우려

리비아·이집트 공안기관 부활…대국민 감시·탄압 등 재연 우려

입력 2013-07-31 00:00
업데이트 2013-07-31 0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랍의 봄’ 민주화 시위의 진원지였던 리비아, 이집트, 튀니지 등 북아프리카 국가들이 최근 또다시 정치적 격랑에 휩싸인 가운데 정부가 개각을 단행하는 등 민심 수습에 나섰다. 그러나 리비아, 이집트가 과거 공안기관의 부활을 예고하고 나서면서 독재 시대로 회귀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리비아 정부는 최근 잇따른 반정부 시위와 폭력 사태로 인한 정국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국방장관을 새로 임명하고, 일부 장관을 교체하는 등의 개각을 단행하기로 했다.

AFP통신에 따르면 알리 제이단 리비아 총리는 29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현재 공석인 국방장관을 새로 임명하고, 일부 장관을 교체하는 등의 내용이 담긴 개각안을 31일 의회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번 개각안에는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 시절 국민을 탄압하는 활동으로 악명을 떨친 국내안보부(ISA)를 재가동하겠다는 내용이 담겨 논란이 일고 있다.

이집트 과도정부 역시 이날 2011년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 축출 이후 폐지됐던 비밀 경찰조직인 국가안보조사국을 부활시키겠다고 밝혔다. 가디언에 따르면 ‘마바히스 암 아드 다울라’로 불리던 이 조직은 이슬람 단체와 야권 성향의 운동가에 대한 감시와 탄압을 일삼은 것으로 유명하다.

한편 지난 25일 야권의 유력 지도자가 또다시 암살되면서 혼란이 재연된 튀니지에서는 정부가 야권과 반정부 시위대의 퇴진 요구를 거부하는 대신 오는 12월 총선거를 치르겠다고 밝혔다.

AP통신에 따르면 알리 라라예드 튀니지 총리는 29일 국영TV를 통해 오는 12월 17일 총선거를 치르겠다고 발표하면서 “정부는 권력에 매달리지는 않겠지만 끝까지 권한을 이행할 책임과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선거일로 지정한 12월 17일은 공교롭게도 튀니지의 ‘재스민 혁명’을 촉발했던 무함마드 부아지지(당시 26세)가 2010년 시디부지드에서 분신, 자살한 날짜와 같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3-07-31 15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