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무르시 축출 후 주요 사건 일지

이집트 무르시 축출 후 주요 사건 일지

입력 2013-11-04 00:00
업데이트 2013-11-04 16: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상용 특파워 = 무함마드 무르시 전 이집트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카이로 외곽 경찰학교에서 첫 재판을 받았다.

무르시는 자신의 집권 기간인 지난해 12월 대통령궁 앞에서 무르시 지지파와 반대파 간 충돌로 8명이 목숨을 잃을 당시 ‘평화 시위 참가자에 대한 살인과 폭력을 교사’한 혐의 등을 받고 있다.

다음은 지난 7월3일 전후 무르시가 군부에 축출된 과정과 지금까지 주요 사건 일지.

▲6월30일 = 무르시 취임 1주년을 맞아 100만명 이상 참가한 대규모 반정부 시위 열림. 시위대가 카이로 무슬림형제단 본부 습격하는 과정에서 8명 사망

▲7월1일 = 무르시 찬반 시위 가열…군부는 “48시간 이내 혼란 해결하라”며 최후통첩

▲7월2일 = 군부, 무르시 사임 거듭 촉구. 무르시는 퇴진 거부. 무르시 찬반 세력 충돌로 최소 18명 사망.

▲7월3일 = 군부, 무르시 정권 축출…무슬림형제단 등 이슬람 세력, 무르시 복권 연좌농성 시작

▲7월4일 = 아들리 만수르 헌법재판소 소장, 임시 대통령에 취임

▲7월6일 = 이집트 수도 카이로 등 전국 곳곳에서 무르시 찬반 세력 충돌로 30여명 사망…무슬림형제단 실세 카이라트 엘샤테르 체포

▲7월8일 = 군부, 카이로 공화국수비대 본부로 행진하던 무르시 지지 시위대에 발포…50여명 사망

▲7월9일 = 임시 대통령, 하젬 엘베블라위 총리 임명…새 내각 구성 착수

▲7월10일 = 검찰, 무슬림형제단 의장 체포 명령

▲7월14일 = 야권 지도자 무함마드 엘바라데이, 부통령에 공식 취임

▲7월16일 = 과도정부, 자유주의, 세속주의 세력 위주로 새 내각 구성…이슬람계 배제

▲7월19일 = 이집트 전역서 이슬람 세력 수만명 군부 반대 시위

▲7월26일 = 카이로 타흐리르 광장서 수만명 군부 지지 집회…이집트법원,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에 협력한 혐의 등으로 무르시 구금 명령

▲7월28일 = 카이로 나스르시티 주변에서 군부 강경 진압으로 최소 72명 사망…알렉산드리아에서도 9명 사망

▲7월30일 = 캐서린 애슈턴 EU 외교·안보 고위대표, 무르시와 2시간 면담…무르시는 ‘시위중단·화해’ 제안 거절

▲8월1일 = 과도정부, 무르시 지지 시위대 자진 해산 공개 촉구

▲8월2일 = 무슬림형제단, 정부 경고 무시…대규모 군부 반대 집회 개최

▲8월4일 = 압델 파타 엘시시 국방장관, 이슬람 지도자와 위기 논의 회동

▲8월5일 = 미국·유럽연합 외교 사절단, 교도소에 수감 중인 무슬림형제단 실세 엘샤테르 면담

▲8월7일 = 과도정부 “외국중재 노력 실패” 발표…시위대 해산 공개 경고

▲8월12일 = 군경, 무르시 지지 농성장 해산 작전 전개하려다 연기

▲8월13일 = 사법부, 무르시 구금 기간 15일 추가 연장

▲8월14일 = 군경, 카이로 나스르시티 라바광장과 기자지역 나흐다광장 해산 작전 돌입…수백명 사망

▲8월19일 = 시나이반도에서 경찰관 26명 무장단체에 피살

▲8월20일 = 무슬림형제단 의장 무함마드 바디에 체포

▲9월5일 = 이집트 내무장관, 카이로에서 암살 위기 모면

▲9월23일 = 이집트 법원, 무슬림형제단 활동 전면 금지…자산 몰수

▲10월6일 = 이집트 시위대-군경 충돌로 약 60명 사망

▲10월29일 = 이집트 판사, 바디에 의장 등 무슬림형제단 지도부 재판 기피

▲10월30일 = 이집트 당국, 무슬림형제단의 자유정의당 부대표 체포

▲11월3일 =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 이집트 방문해 과도정부 지지 의사 밝힘

▲11월4일 = 무르시, 살인 교사 등의 혐의로 첫 재판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