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가 생수보다 싼 리비아, 8년 내전보다 더 많은 교통사고 희생자

석유가 생수보다 싼 리비아, 8년 내전보다 더 많은 교통사고 희생자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4-09 09:04
업데이트 2019-04-09 09: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튀니지, 알제리와의 국경 근처인 리비아 서부 카다메스 마을의 열악한 도로 위를 차들이 지나가고 있다. AFP 자료사진 연합뉴스
튀니지, 알제리와의 국경 근처인 리비아 서부 카다메스 마을의 열악한 도로 위를 차들이 지나가고 있다.
AFP 자료사진 연합뉴스
2011년 무아마르 카다피가 축출된 뒤 시작된 내전이 최근 수도 트리폴리까지 번지면서 리비아가 이른바 무정부 상태에 빠져드는 것 아닌가 국제사회가 우려하고 있다. 더불어 양측의 교전으로 막대한 인명 피해를 낳지 않을까 걱정되는데 지난 5년 동안 내전으로 인한 희생자보다 훨씬 많은 인명이 살상된 것이 교통사고였다고 AFP통신이 지난 4일(현지시간) 보도해 새삼스레 눈길을 끈다. 최대 군벌 지도자 칼리파 하프타르가 트리폴리 진격을 선언한 그날 보도했다.

기사 첫머리는 이렇게 시작한다. ‘기름값이 생수값보다 싼, 내전으로 얼룩진 이 나라의 교통사고 지수는 세계 최악이다. 교통 수칙 무시, 열악한 인프라, 안전 기준에 미달한 차량들이 일으키는 교통사고는 무기로 인한 사고보다 훨씬 많은 인명을 해친다.’

트리폴리 도심의 타리크 알시카 공원에 가보면 수백 대의 버려진 차들이 널려 있다. 몇몇 차량에는 핏자국이 그대로 남아 있고, 찢긴 옷이나 신발들도 그대로 방치돼 있다. 내무부 교통국에 따르면 지난해에만 4115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해 2500명이 죽고 3000명 이상이 다쳤다. 내무부 대변인인 압델나세르 엘라피 대령은 “리비아는 일인당 사망 교통사고 건수로 (세계) 기록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2011년 내전 발발 이후 희생된 숫자가 수백명에 불과한 데 견줘 지난해에만 훨씬 많은 사람들이 교통사고로 희생된 것이다.

앞서 지적한 대로 기름값이 워낙 싸 600만명이 조금 넘는 이 나라에서 450만대 이상이 굴러다니고 있다. 정부 보조를 받는 덕에 리터당 0.15디나르(약 148원) 밖에 안된다. 그러니 생수보다 싸다는 얘기가 나온다. 여기에 “60년 동안 한 번도 보수하지 않은” 도로 여건이 한몫 한다.
지난달 12일 리비아 수도 트리폴리 도심의 타리크 알시카 공원 한쪽에 버려진 자동차들. AFP 자료사진 연합뉴스
지난달 12일 리비아 수도 트리폴리 도심의 타리크 알시카 공원 한쪽에 버려진 자동차들.
AFP 자료사진 연합뉴스
200만명이 모여 사는 트리폴리에는 2010년 60만대이던 승용차가 올해 200만대로 세 배 넘게 치솟았다. 정부 소유 차량에 택시, 대중교통까지 합치면 300만대가 넘는다. 값싼 수입차를 앞다퉈 가져와 안전벨트나 에어백을 장착한 차량 보기가 어렵다. 지난 2월 정부는 10년 이상 노후된 차량은 수입하지 못하도록 입법했다. 그리고 몇년 만에 처음으로 내년 예산안에 도로 보수를 위한 몫을 포함시켰다.

엘라피 대변인은 “도로는 비가 오면 체계적으로 넘쳐나고 다리들은 이용할 수 없으며 긴급 보수를 요한다”고 말했다. 교통부는 운전자들에게 도로교통법을 알리는 캠페인을 시작했고 교통 법규 위반자를 단속하는 순찰대를 배치하고 있다. 하지만 내전 발발 이후 순찰대는 보복 공격이 두려워 단속을 느슨하게 할 수 밖에 없다. 해서 꽉 막힌 도로에서 신호 조작이나 할 뿐이다.

교통사고를 당해 무릎을 다친 적이 있다는 운전자 아마드 라잡(35)은 “젊은이들은 처벌받지 않는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교통경찰을 존중하지 않는다. 하지만 운전자들을 탓할 수도 없다. 교통사고는 리비아에서 많은 인명을 앗아가는 침묵의 살인자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